[서울파이낸스 김완일 기자] 미국이 전방위적인 선박 발주를 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산업용 및 군수용 선박 최대 448척의 발주가 예상되며 이는 한국 전체 선박 건조 3년 치에 해당하는 물량이다. 국내 조선 산업 호황을 이어가기 위해 미국과의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고 이번 기회를 통해 장기적인 투자에 돌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경제인협회는 '미국 조선 산업 분석 및 한미 협력에서의 시사점' 보고서에서 미국이 2037년까지 산업·군수용 선박을 최대 448척 발주할 것으로 전망했다. 해당 전망치는 지난 4월 발의된 미국의 '조선 및 항만 인프라 법'과 군함 신조 계획 등을 참고해 집계됐다.
보고서에서는 미국의 발주가 예상되는 전략상선대,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군함 등을 비롯해 미 군함 유지·보수·정비(MRO)에 대한 항목별 적합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먼저 상선의 경우에는 미국이 전략상선대를 100척 이상 발주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략상선대란 평상시 상업 용도로 활용하다가 전시에는 병참 지원에 동원되는 선박을 의미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전략상선대는 1000~6000TEU급 중형 선박이 주를 이루고 있어 이에 대응해 국내 중형 조선업계의 수주 및 사업 확대를 위한 민관 협력 방안이 필요하다고 시사했다.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경우에는 최소 42척에서 최대 65척을 발주할 것으로 예상했다. 현재 미국은 LNG 수출 증가로 운반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어 다수의 신규 발주가 예상된다. 다만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미국 '조선 및 항만 인프라 법'이 2047년까지 LNG 수출 화물의 15%를 미국 내에서 건조한 선박으로 운송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현지화에 대한 필요성을 보고서는 설명했다.
군수 선박은 퇴역 및 신조 계획에 따라 전투함과 지원함 발주를 각각 129척, 46척 예상했다. 유사시 미군을 지원하는 국적 선박인 '국방예비함대(NDRF)'는 10년 내 노후 선박 교체란 가정 아래 67척 발주를 전망했다. 이 외에도 액화이산화탄소 운반선과 쇄빙선이 10척 이내로 발주될 것이 예상된다.
신조 계획 외에도 보고서에는 미국 군함 유지·보수·정비(MRO)에 대한 전략도 언급했다. 미국 전투용 함정의 경우 첨단 무기 체계와 연계돼 있어 이른 시일에 모두 한국에 맡길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에 선체 보수작업 위주로 사업을 진행하며 신뢰를 쌓은 후에 선체 개보수 사업 수주로 확대하는 장기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같은 이유로 신조 분야도 수송 및 지원함과 같은 비전투함 우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내다봤다.
국내 조선업계는 이번 보고서가 전망하는 미국 발주 물량 상당수가 한국 몫이 될 것이라 보고 있다. 한국의 기술력은 이미 세계 시장에서 증명하고 있고 자국 내 조선업을 부흥시키려는 목적을 가진 미 정부는 중국보단 우호국에 발주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되기 때문이다.
다만 이를 통해 한미 양국이 동반 이득을 취하기 위해선 장기 투자와 인프라 개선, 생산성 향상, 인력 충원 등을 협력해야 한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미국 내 조선소 개선과 한국 기업의 현지화 등에서 양국의 협의가 중요하다는 의미다. 또한 미국으로의 진출에 따른 국내 조선 인력 이동과 부족에 따른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인재 양성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이야기했다.
보고서를 집필한 류민철 한국해양대 교수는 "단기적으로 국내 건조가 가능하도록 정부와 업계는 전략을 마련해야 하고 중장기적으론 국내 조선 기업들이 미국 현지화를 준비해야 한다"며 "인력과 공급망을 확보하고 미국과 지속 협의해 정책 변화 없이 일관된 방향으로 양국이 나아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