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크기 설정
기사의 본문 내용은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서울파이낸스 이진희 기자] 내년에 저축은행과 보험사, 카드사를 포함한 제2금융권의 대출 문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최근 제2금융권에 내년 가계대출 총량 증가율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며 이달 말부터 다음 달 초까지 내년도 관리 목표를 제출하라고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사별 업권 특성·규모 등에 따라 내년 증가율 가이드라인을 달리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상호금융권의 올해 증가율 목표치는 4.1%였으나 내년에는 이보다 낮아지리라는 전망이 나온다. 보험업계는 올해와 비슷한 수준인 4%대 초반을, 신용카드사 등 여신업계도 올해와 같은 수준인 증가율 6∼7%를 기준으로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올해 증가율 목표치가 21.1%였던 저축은행의 경우 사별로 10.8∼14.8% 증가율을 내년 가이드라인으로 제시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를 두고 저축은행권에서는 벌써 불만의 목소리를 내는 분위기다. 은행권보다 목표치 감소폭이 큰 데다 중금리 대출이 총량 규제에 포함됐기 때문이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법정 최고금리가 낮아진 상황에서 가계대출 증가율 목표치마저 대폭 삭감된다면 중·저신용자에 피해가 전가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 2금융권 대출도 '빡빡'···가수요 급증 속 '대출 한파 주의보'
- 정은보 "제2금융권 사업자대출 사후점검 대상 확대"
- 고승범 "가계부채 대책, DSR 조기 시행·2금융권 관리 강화 담길 것"
- '은행자금 조달 길' 열린 대부업계, 저신용자 대출 확대 나설까
- 신협도 신규 가계대출 중단···상호금융 '대출문' 닫혔다
- 역대급 실적에도 웃지 못하는 저축은행들···고강도 규제 예고
- 금융당국 "중저신용자대출, 총량규제서 제외···실수요자 피해 최소화"
- '카카오 헬스케어 진출'에 촉각 곤두세우는 보험업계
- '대출 옥죄기' 통했나···가계대출 증가세, 2개월 연속 꺾여
- [뉴스톡톡] DSR에 총량규제···새해 대출한파 풀리나
- 정치권, 대선 앞두고 최고금리 인하 추진···포퓰리즘 논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