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연준, 테이퍼링 공식 선언···내년 하반기 금리인상 대두
美연준, 테이퍼링 공식 선언···내년 하반기 금리인상 대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장 "美연준, 예상보다 덜 강경했다"
IB "내년 하반기부터 금리 올릴 수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전경. (사진= 픽사베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전경. (사진= 픽사베이)

[서울파이낸스 박성준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돌입을 공식 선언했다. 이번 결정은 대체로 '비둘기파(통화완화 선호)'적이었으며, 예상 수준에 부합했다는 관측이 주를 이뤘다. 이제 시장의 관심은 향후 금리인상을 언제 올릴 것인가에 집중되고 있으며, 이르면 내년 하반기부터 금리가 올라갈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4일 한국은행 및 금융업계에 따르면 이번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 대한 시장의 반응은 대체로 비둘기파적이었다는 평가다. 무엇보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조기 금리인상 가능성을 일축했다는 점에서 시장은 이를 비둘기파적 메시지로 받아들였다. 파월 연준 의장은 "이번 회의에서는 테이퍼링에 대해서만 논의를 진행했으며, 금리인상 관련 논의는 이뤄지지 않았다"면서 "테이퍼링이 금리 정책에 직접적인 신호를 보내는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연준은 성명을 통해 "인플레이션은 높아졌지만, 많은 부분은 일시적일 것으로 예상되는 요인에 주로 영향을 받아 높아진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앞서 시장에선 예상보다 길어지고 있는 글로벌 물가 상승 압력에 연준이 '일시적'이라는 견해를 철회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일시적일 것으로 예상되는' 등의 표현을 통해 기존 입장을 유지했다는 점에서 완화적 기조가 지속됐다는 해석이 나온다.

시장은 비둘기파적 연준의 행보에 안도했다. 3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전장보다 0.29% 오른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3만6157.58)를 비롯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 4660.57(0.65%↑) △나스닥지수 1만5811.58(1.04%) 등 3대지수가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같은 날 달러화지수(달러인덱스)는 94.2선에서 93.8 수준까지 내려왔고, 원·달러 환율도 오전 개장과 함께 1170원대로 레벨을 낮췄다. 

글로벌 주요 투자은행(IB)들은 대체로 예상에 부합했던 결과라고 평가하면서 테이퍼링 속도, 금리인상 시기 등 향후 정책결정과 관련해 유연한 대응을 강조했다는 데 주목했다.

특히 연준이 월간 150억달러의 자산매입 축소 계획을 밝히면서도, 올 11~12월 먼저 시행한 뒤 향후 경제전망 변화에 따라 속도를 조정하겠다는 방침은 향후 테이퍼링의 속도를 더욱 올릴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했다. 또한 금리인상 기대에 대한 즉답을 피했다는 점에서 인상 시기는 당초보다 더욱 앞당겨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씨티는 "이번 FOMC는 예상보다 더욱 '매파적(통화긴축 선호)'이었다"면서 "테이퍼링 속도가 경제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바뀔 여지를 둔 점에서 자산매입 축소폭이 월 200억~300억달러 확대될 것으로 예상한다. 또 내년중 금리인상 기대를 묻는 질문에 즉답을 피한 점도 매파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높은 인플레이션, 타이트한 노동시장을 고려해 첫 번째 금리인상 시기를 기존 12월에서 6월로 변경한다"고 전망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정책결정문에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라는 평가를 다소 완화했고, 타이트한 노동시장 지속 여부도 불확실하다고 평가한 점 등을 고려할 때 금리 인상에 급히 나설 것 같지는 않다"면서 "테이퍼링은 6월 또는 그 이전으로 종료될 것으로 예상하며, 내년 4분기 첫 금리 인상 전망을 유지한다"고 말했다.

국내 증권업계에선 연준이 보다 비둘기파적 기조를 유지했다고 평가하면서, 내년 하반기 늦게 첫 금리 인상이 단행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하건형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물가 안정을 전제로 연준의 선제적인 금리 인상 단행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한다"면서 "연준은 내년 6월까지 예정된 테이퍼링을 마친 뒤, 완전고용 등 경제에 대한 충분한 진전을 확인할 수 있는 2022년 12월에 첫 금리 인상을 진행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윤소정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고용 목표가 충족된다면 내년 하반기 금리 인상은 단행될 수 있겠지만, 공급 병목현상이 해소되고 고용 목표가 충족된 이후일 것"이라면서 "최근 높은 물가상승률, 고용지표 회복 정체 등을 고려할 때 연준이 정상화를 서두를 이유가 크지 않다"고 전망했다. 이어 "현 속도대로 자산매입을 축소할 경우 내년 6월에 테이퍼링이 완료되며, 첫 기준금리 인상 시점은 연방기금금리 선물 시장에서 반영하고 있는 내년 6월보다 미뤄질 것으로 전망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