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강도 대출 규제에도···내년도 은행권 好실적 전망, 왜?
고강도 대출 규제에도···내년도 은행권 好실적 전망, 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美 테이퍼링 공식화···한은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 '초읽기'
대출 총량 규제 악재에도 예대마진 확대 전략 구사 용이
금융당국의 금리책정 간여·금리상승 비판여론 등은 부담
KB국민은행 여의도 영업점에서 직원들이 마스크를 착용하고 고객 업무를 보고 있다. (사진=KB국민은행)
서울 시내 한 시중은행 영업점에서 고객 상담이 이뤄지고 있다. (사진=KB국민은행)

[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은행권이 코로나19 이후 급격히 늘어난 대출자산으로 최대 실적을 갈아치우고 있는 가운데 내년에도 업황이 나쁘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기본적인 여건은 좋지 않다. 금융당국의 대출 총량 관리 강화로 은행들의 대출자산이 올해만큼 큰 폭으로 늘어날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글로벌 긴축 시계가 빨라지면서 한은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이 높아졌고, 이로 인해 은행으로서는 유리한 예대마진 전략을 구사할 여력이 커졌다. 한마디로 주수익원의 덩치키우기를 기대할 수는 없지만 수익성은 더 쏠쏠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다만, 대출총량 규제에 나선 금융당국이 그 부작용을 우려해 개별은행의 금리책정에 창구지도와 같은 방식을 통해 구체적으로 간여하고 나설 가능성이 높아진 점, 급속한 금리상승에 대한 비판 여론 등은 은행들이 극복해야할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5일 시장 전문가들에 따르면 내년 은행업 순이익은 올해보다 9% 안팎의 성장을 이룰 것으로 전망된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올해 3분기까지 누적 당기순이익은 9조5009억원으로 이미 지난해 연간 순이익 9조1018억원을 훌쩍 뛰어넘었다. 대출자산 성장에 힘입은 사상 최대 실적이다. 올해 5대 은행의 연간 순이익이 10조원을 돌파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올해 코로나19 수혜를 봤던 은행업은 내년에도 호실적 행진을 이어갈 전망이다. 금리를 둘러싼 각종 환경들이 은행업에 유리한 상황이어서다.

먼저,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이달 말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돌입을 공식화하면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속도도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당장은 아니더라도 연준은 테이퍼링 이후 경제 상황이 개선된 시점에 금리 인상을 단행할 예정이다. 한국은행으로선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자본 유출을 막기 위해 선제적으로 국내 금리를 올릴 필요가 있다.

유력한 시점은 금융통화위원회가 개최되는 오는 25일이다. 기준금리가 오르면 시장금리도 덩달아 올라 은행 수익성이 개선된다. 통상 기준금리가 0.25%p 오를 때마다 은행의 연간 순이자마진(NIM)은 0.03%p 가량 상승한다.

김수현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기준금리 인상 후) 첫 3개월 구간에 가장 큰 폭의 마진 증가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상승흐름은 6개월까지 지속된다"며 "8월 이후 11월까지 금리 인상을 가정하면 NIM은 내년 상반기까지 계속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흔히 은행에 악재로 인식되던 가계부채 규제가 최근에는 오히려 업황 개선에 힘을 싣어주고 있기도 하다. 은행권이 대출총량 관리를 위해 대출 우대금리를 대폭 낮추는 방식으로 금리를 크게 올리면서 예대마진(대출금리-예대마진)이 확대되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

실제 8월 기준금리 인상과 은행 우대금리 축소 등의 여파로 연 5%대 주택담보대출이 등장하는 등 최근 대출금리는 하루가 다르게 치솟는 형국이다. 이달 1일 4대 은행의 주담대 금리는 연 3.97~5.38%로 8월 말(연 2.92~4.42%) 대비 약 1%p 올랐다.

백두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은행업은 올해에 이어 2년 연속 실적 강세 흐름이 지속될 것"이라며 "근원물가 상승 대응과 금융불균형 완화를 위한 기준금리 인상, 은행 차원의 예대 프라이싱 전략 덕에 NIM도 0.08%p 상승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영수 키움증권 연구원도 "부채 구조조정 시점에는 은행들이 위험을 금리에 반영하면서 수익성을 유지할 수 있다"며 "부채 구조조정의 대표적인 수혜 산업"이라고 평가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