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크기 설정
기사의 본문 내용은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서울파이낸스 이진희 기자] 금융 당국이 오는 26일 발표할 가계부채 보완 대책에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조기 시행과 제2금융권 관리 강화 등의 내용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금융회사가 자체적으로 가계부채를 관리하는 방안과 함께 실수요자를 보호하는 내용도 담길 예정이다.
고승범 금융위원장은 21일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종합국정감사에서 "다음 주 발표될 가계부채 추가 대책에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조기 시행과 제2금융권 관리 강화 등의 내용이 담길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금융회사가 자체적으로 (가계대출을) 관리하는 방법을 넣고, 실수요자 보호방안을 넣어 발표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홍성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가계부채 대책과 관련한 질의에 대한 답변이다. 홍 의원은 일본의 사례를 들어 "당장 급하니 금리를 올렸다가 11개월 만에 또 다시 금리를 인하하는 등 금융당국의 실패가 일본의 30년 불황을 만들었다"며 "2년 정도 로드맵을 마련해 놓고 내년 정권이 바뀌더라도 이와 무관하게 정책이 이어질 것이란 사인을 주고 밀고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고 위원장은 "일본의 사례처럼 되지 말아야 한다는 점에 전적으로 동감한다"며 "가계부채 증가 속도가 홍콩 다음 2위라고 하는데 사실상 우리가 1위이며, 버블 가능성 지수도 우리가 2위라고 하고, 주택가격상승률 세계 3위라고 한다. 관리가 상당히 필요한 시점으로 차근차근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 고승범 금융위원장 "전세자금대출, DSR 규제 적용 안한다"
- 정은보 금감원장 "머지포인트 전금법 대상 아니라고 항변해 불가피하게 지연"
- 막혔던 전세대출 다시 풀린다···농협·신한銀, 대출 정상화
- 고승범 "청년금융, 접근성 제고에 치우쳐···상품 다양화해야"
- 여야 "화천대유 주인 확인해보자"···FIU "열람 어렵다"
- 금융위 국감서 '가계부채 대책' 윤곽···현안 뒷전에 '맹탕' 지적도(종합)
- 고승범 "가상자산 시장, 투명한 거래질서 확립위해 노력"
- [가계부채 대책] 총대출액 2억원 초과 시 DSR 40%···2금융 50% (종합)
- [Q&A] '총대출액' 기준 및 적용받는 시점은?
- 고승범 "차주별DSR 조기 시행···전세·신용대출 원리금 상환 유도"
- 내년 2금융권 대출받기 힘들어진다···가계대출 증가율 '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