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크기 설정
기사의 본문 내용은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서울파이낸스 이진희 기자] 고승범 금융위원장이 오는 26일 발표할 가계부채 보완 대책과 관련해 "전세대출에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적용하지 않기로 했다"고 21일 말했다.
고 위원장은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의 종합 국정감사에서 가계부채 관리에 관한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DSR은 소득 대비 전체 금융부채의 원리금 상환액 비율로, 엄격하게 적용하면 대출 한도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현재 DSR 기준은 은행별로 40%, 비(非)은행 금융사별로 60%가 적용된다.
앞서 당국은 전세대출도 DSR에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해 왔으나, 실수요자 반발 등을 감안해 결국 적용하지 않기로 결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고 위원장은 "실수요자 대출이 많이 늘고 있어서 가계부채 관리가 쉽지 않다"면서 "실수요자 대출 중 전세 대출, 정책 모기지, 집단 대출이 있는데 전세 대출을 다양한 각도에서 방안을 강구했고, 전세 보증금 증액 범위 내에서 (대출)하는 것도 그 중 하나"라고 말했다.
이어 "다음주 대책 발표를 앞두고 여러 각도에서 검토했다"면서 "전세 대출 관련 금리나 보증 문제, 갭투자(전세를 낀 주택 매매)를 유발한다는 지적이 있어서 이 부분을 잘 보면서 관리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 정은보 금감원장 "머지포인트 전금법 대상 아니라고 항변해 불가피하게 지연"
- 막혔던 전세대출 다시 풀린다···농협·신한銀, 대출 정상화
- 고승범 "청년금융, 접근성 제고에 치우쳐···상품 다양화해야"
- '전세대출' 한 발 물러선 고승범···DSR 등 강경기조 유지 (종합)
- 고승범 "가계부채 대책, DSR 조기 시행·2금융권 관리 강화 담길 것"
- 여야 "화천대유 주인 확인해보자"···FIU "열람 어렵다"
- 금융위 국감서 '가계부채 대책' 윤곽···현안 뒷전에 '맹탕' 지적도(종합)
- 고승범 "가상자산 시장, 투명한 거래질서 확립위해 노력"
- [가계부채 대책] 총대출액 2억원 초과 시 DSR 40%···2금융 50% (종합)
- [Q&A] '총대출액' 기준 및 적용받는 시점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