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SK텔레콤(SKT)이 '오픈 소스' 활용을 위한 체계적 관리(컴플라이언스) 시스템을 갖췄음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
SKT는 국제표준화기구(ISO)로부터 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 관련 표준인증(ISO·IEC 5230)을 획득했다고 9일 밝혔다.
2020년 ISO(국제표준화기구)와 IEC(국제전기기술위원회)는 미국의 비영리단체인 리눅스 재단이 주도하고 있는 '오픈체인 프로젝트'의 규격을 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 관련 유일한 국제표준(ISO·IEC 5230)으로 채택했다.
'오픈소스' ISO 표준은 △오픈소스 정책과 프로세스 수립의 적정성 △컴플라이언스 시스템 구축 여부 △개발자 교육∙평가 등에 대한 기준 충족 여부를 심사한다.
SKT는 이를 충족하기 위해 올해 초 오픈소스평가위원회(OSRB)를 구성하고, 오픈소스의 사용과 기여∙공개 원칙 등을 규정한 사내 컴플라이언스 체계를 구축했다.
또 SKT 오픈소스 포털을 구축해 '오픈소스'를 통한 연구개발 결과물을 공개하고 있으며, 전산 개발자를 대상으로 오픈소스 관련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아울러 SKT는 개발자 지원채널인 '데보션(DEVOCEAN)'을 론칭하는 등 SKT와 SK ICT패밀리의 내부 개발자들과 외부 개발자간 소통과 기술 공유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최근 유럽의 자동차 제조사 등 글로벌 기업들이 소프트웨어 공급자에게 오픈소스 ISO 표준 인증을 요구하는 등 오픈소스 관리체계의 중요성은 나날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맞춰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 등 국내외 약 50여개의 ICT 기업들도 인증을 획득하는 등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SKT는 ISO 인증 획득을 계기로 오픈 소스 활용을 위한 보다 안정적인 환경을 갖춘 만큼, 기술변화가 빠른 AI·빅데이터·양자∙클라우드 등 핵심 연구개발 분야에서도 오픈소스 활용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김윤 SKT CTO는 "AI 컴퍼니로의 전환을 준비하는 SKT는 AI∙5G∙클라우드 분야에서 신기술 조기 도입과 빠른 기술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오픈소스를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며 "SKT는 오픈소스 국제표준 준수 및 노하우 전파를 통해 오픈소스 생태계 확장과 사회적 가치 창출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 삼성·통신3사·네이버·카카오 총출동···'AI 최고위전략대화' 출범
- 이통3사-KAIT, '지구 건강 탄소 다이어트' 공동 캠페인
- SKT, 'T전화'에 AI 기반 신규 기능 추가
- SKT, '티딜'에 선물하기 서비스 추가
- SKT, 근무형 인턴십 '티웍스' 성료
- SKT, 어린이·청소년 요금제 출시
- 코로나에도 실적 '탄탄'···대기업 12곳, 86분기 연속 흑자
- [5G 품질평가] SKT '속도'·KT '다중시설'·LGU+ '커버리지'
- SKT, 구독 패키지 'T우주' 출시···다양한 프로모션 선봬
- SKT, '소형지진감지센서' 설치 영역 대폭 확대
- '구독경제' 뛰어든 이통3사, 100조 시장 '한판 승부'
- 이통3사, 중저가 5G 스마트폰 가입자 유치 '격전'
- SKT-한수원, 5G로 발전소 유선장애 '초 단위 복구시대' 연다
- SKT, 신입 채용 지원자 디지털 소통 강화
- SKT, KBS-캐스트닷에라와 방송 송출 플랫폼 '혁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