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SK텔레콤(SKT)과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은 국내 발전소 유선통신 시스템 장애 발생 시 '초(秒)' 단위 대응을 위해 '프라이빗-5G 기반 비상통신 솔루션' 도입에 나선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솔루션은 현장과 발전소 통제실을 잇는 유선통신장비에 장애가 생길 경우 자동으로 '프라이빗-5G' 기반 무선통신으로 비상 전환해 몇 초 내로 장애를 해소하고 발전소 운영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현재 유선통신 관련 장애가 발생할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관리자가 장애 현장으로 출동해 수리 및 복구를 진행해야 해 정상화까지 짧게는 수 시간에서 길게는 몇 일이 소요되는 상황이다.
SKT와 한수원은 프라이빗-5G 기반 비상통신 솔루션의 실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최근 양양 양수발전소에서 상부 댐과 하부 통제실을 무선통신으로 잇는 현장 실증을 성공리에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날 실증에 참석한 신용식 SKT IoT CO장과 전혜수 한수원 디지털혁신추진단장 등 양사 주요 관계자들은 이번 솔루션 도입으로 국내 발전소 ICT 시스템의 안정적 운영에 보탬이 되는 것은 물론, 국민들의 안정적인 전기 이용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또한 양사는 프라이빗-5G 기반 비상통신 솔루션의 상품화와 국내 수력양수 및 원자력 발전소들에 이를 적용하는 사업 확대 추진에도 계속 협력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SKT와 한수원은 지난 2019년 스마트플랜트 구축을 위한 상호양해각서를 체결한이후 양사의 보유 역량을 결집할 수 있는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왔다.
특히 지난해 SKT의 '프라이빗-5G' 상용화 이후 높은 보안성을 갖춘 무선망을 활용해 발전소 현장에서 실시간 모바일 상황공유시스템, 산업용 드론을 활용한 수력 지형 통합관리시스템 등 모바일 기반의 수행 가능 업무를 개발해 왔으며 동시에 현장에서의 사용성 확대를 위해 무선망 확장에도 힘쓰고 있다.
신용식 SKT IoT Co장은 "이번 한국수력원자력과의 협력으로 5G를 통해 안정적인 전기의 생산과 공급에 기여할 수 있게 됐다"며 "한수원과 프라이빗-5G 기반 비상통신 솔루션을 성공적으로 상품화하고, 혁신적인 솔루션들을 계속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 이통3사, 중저가 5G 스마트폰 가입자 유치 '격전'
- '구독경제' 뛰어든 이통3사, 100조 시장 '한판 승부'
- SKT, '소형지진감지센서' 설치 영역 대폭 확대
- SKT, 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 분야 ISO 국제인증 획득
- 삼성·통신3사·네이버·카카오 총출동···'AI 최고위전략대화' 출범
- 이통3사-KAIT, '지구 건강 탄소 다이어트' 공동 캠페인
- SKT, 'T전화'에 AI 기반 신규 기능 추가
- SKT, '티딜'에 선물하기 서비스 추가
- SKT, 근무형 인턴십 '티웍스' 성료
- SKT, 어린이·청소년 요금제 출시
- SKT, 신입 채용 지원자 디지털 소통 강화
- 이통3사, 동반성장지수 평가서 나란히 '최우수' 선정
- SKT, KBS-캐스트닷에라와 방송 송출 플랫폼 '혁신'
- 229개 지자체 중 5G 기지국 10개 미만 19곳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