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KT가 멕시칸 레스토랑 온더보더와 외식업계 디지털 전환(DX)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KT와 온더보더는 인공지능(AI) 서빙로봇 도입, AI컨택센터(AICC)를 통한 예약 관리, 스마트로를 통한 편리한 결제 시스템 구축 등 다양한 솔루션을 통해 자동화 매장을 구현하겠다는 계획이다.
두 회사는 자동화 매장을 위한 통합 서비스 제공을 위해 KT의 차별화된 네트워크 역량으로 매장 내 기가급 와이파이 환경을 조성하고, 다양한 솔루션 업체와의 협업을 통해 예약-주문-서빙-결제를 아우르는 시스템 도입에도 협력할 예정이다.
이번 업무협약의 첫 번째 결과물로 온더보더는 매장에 AI 서빙로봇을 도입한다. 온더보더 광화문점, 영등포점, 여의도점, 대전점에서 먼저 만나볼 수 있으며 향후 전국 12개 매장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AI 서빙로봇은 자율주행 솔루션이 적용된 최첨단 모바일 서비스 로봇으로 총 4개의 센서를 통해 정밀하게 장애물을 인식할 수 있어 좁은 공간에서도 정확하고 안전한 자율주행이 가능하다. 안정적 서빙을 위해 최소 150g에서 최대 30kg까지 탑제가능하며, 고객이 음식을 수령하면 무게 센서를 통해 이를 인식하고 대기장소로 자동 이동한다. KT는 전국 네트워크 망을 통한 24시간 로봇 관제, 전국 50개 KT지사의 로봇 전담 인력을 통한 즉각적인 A/S를 제공할 예정이다.
박연수 온더보더 대표는 "광화문점에 시범 설치했던 KT AI 서빙로봇이 고객은 물론 직원들에게도 큰 호응을 얻어 전면 도입을 결정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자동화 매장 솔루션 도입을 통해, 직원들이 고객 응대에 더 집중할 수 있는 환경에서 최상의 고객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유창규 KT 강북·강원법인고객본부장 상무는 "KT와 온더보더의 이번 협약은 '푸드테크' 시장을 여는 신호탄이 될 것"이라며 "AI 서빙로봇 뿐만 아니라 AICC, 네트워크, 빅데이터 등 KT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객의 외식경험을 변화시킬 수 있는 자동화 매장 서비스를 지속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한편 정통 멕시칸 레스토랑 온더보더는 미국 내 150여 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2007년 인터내셔널 1호점으로 한국에 런칭 후 직영점 중심의 브랜드 운영을 해왔다. 향후 연내 가맹사업 및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해외지사를 본격화할 예정이다.
- KT스카이라이프, 유아 언어치료 교육영상 제작에 2500만원 지원
- 디즈니+ 11월 12일 국내 출시 확정···LGU+ "막판 협상 중"
- 삼성·통신3사·네이버·카카오 총출동···'AI 최고위전략대화' 출범
- KT, 'AI 혁신스쿨' 프로젝트 추진···3년간 지역인재 3600명 육성
- 이통3사-KAIT, '지구 건강 탄소 다이어트' 공동 캠페인
- KT, 러시아 극동개발공사와 헬스케어·IDC 사업 추진 협력
- KT, 테라급 네트워크로 IDC '데이터 동맥' 넓힌다
- [5G 품질평가] SKT '속도'·KT '다중시설'·LGU+ '커버리지'
- KT , 믿고 살 수 있는 중고폰 브랜드 '민트폰' 출시
- KT, 글로벌데이터 기업 '엡실론' 1700억원에 인수···"100조 시장 공략"
- '구독경제' 뛰어든 이통3사, 100조 시장 '한판 승부'
- 이통3사, 중저가 5G 스마트폰 가입자 유치 '격전'
- KT, AI기술로 마왕 신해철 음성 복원
- KT, 블록체인과 AI로 지역화폐 이상거래 잡는다
- KT, 미래형 AI 타워 '송파빌딩'서 디지코 전환 가속화
- KT, 2021년 하반기 채용전환형 인턴 채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