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KT가 고도화된 지역화폐 이상거래 탐지 시스템으로 이상거래를 차단하겠다고 12일 밝혔다.
KT는 2019년부터 'KT 착한페이'로 지역화폐 서비스를 제공하며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KT 착한페이는 블록체인 및 클라우드 기반의 안정적인 운영과 카드 및 QR코드를 활용한 결제 편의성 등의 장점이 있다.
최근 많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역화폐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지역 주민들은 선할인, 캐시백 등 혜택을 받고 있다. 이에 주민들의 지역화폐에 대한 관심과 발행이 증가하고 있으며, 지역 내 소비도 활성화 되고 있다.
반면에 지역화폐를 활용한 불법 판매, 환전 등의 이상거래 방지에 대한 필요성도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매년 지역화폐 구입에 따른 혜택을 취한 후 불법으로 다시 현금화 하는 '지역화폐 깡' 사례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KT는 보다 안전하고 신뢰성 높은 지역화폐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역화폐의 이상거래 단속 강화를 위해 지역화폐 이상거래 탐지 시스템을 블록체인과 인공지능(AI) 기반으로 고도화했다. 기존 시스템은 관리자가 사전 정의한 규칙에 대해서만 탐지 및 통보되는 한계가 있었다.
이번 고도화는 △머신러닝 기반 소비자와 가맹점의 소비패턴 학습 △다양한 패턴의 이상거래 조기 탐지 △지역화폐 유통과정 투명화 등이 주요 특징이다.
지역화폐 이상거래 탐지 시스템은 지역화폐 거래 데이터를 머신러닝 기술로 학습한다. 이를 통해 학습된 구매 패턴을 토대로 정의된 이상거래와 수시로 발생하는 미리 정의되지 않은 이상거래에 대해서도 탐지할 수 있게 했다. 예를 들면, 기존 가맹점들의 결제 및 환전 건수 대비 지나치게 짧은 시간이나 많은 양의 결제 또는 환전이 이뤄지면 시스템에 의해 즉각 탐지 된다.
이를 통해 KT의 지역화폐 관리자는 이상거래 발생 추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지역화폐 이상거래 탐지 시스템은 이상거래로 탐지되는 건이 발생하면 자동으로 KT의 담당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보낸다. 이후 담당자는 이상거래에 대한 판단을 내리며 필요할 경우 결제 및 정산을 차단한다.
임채환 KT AI·DX플랫폼사업본부장 상무는 "블록체인, AI 등이 적용된 이번 지역화폐 이상거래 탐지 시스템은 지역화폐 악의적 유통 대응과 차단이 가능하다"며 "KT는 앞으로도 지역경제 활성화 및 안정적인 운영과 이용을 위한 방안을 계속해서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 KT, AI기술로 마왕 신해철 음성 복원
- 이통3사, 중저가 5G 스마트폰 가입자 유치 '격전'
- 지니뮤직, 구독형 전자책 1위 '밀리의 서재' 인수
- '구독경제' 뛰어든 이통3사, 100조 시장 '한판 승부'
- KT, 글로벌데이터 기업 '엡실론' 1700억원에 인수···"100조 시장 공략"
- KT-온더보더, '푸드테크' 선도 위해 맞손
- KT스카이라이프, 유아 언어치료 교육영상 제작에 2500만원 지원
- 디즈니+ 11월 12일 국내 출시 확정···LGU+ "막판 협상 중"
- KT, 미래형 AI 타워 '송파빌딩'서 디지코 전환 가속화
- KT, 2021년 하반기 채용전환형 인턴 채용
- KT "해외서도 한국 문자 수신·본인인증 가능"
- KT-강원도, 지역 상생발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이통3사, 동반성장지수 평가서 나란히 '최우수' 선정
- KT, 스튜디오지니 유증에 1750억원 규모 참여···"콘텐츠 경쟁력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