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크기 설정
기사의 본문 내용은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롯데케미칼이 에틸렌 생산에서 납사(Naphtha) 비중을 줄이고 액화석유가스(LPG, Liquefied Petroleum Gas)를 늘리는 원료 설비 효율화에 약 1400억원을 투자한다고 5일 밝혔다.
국내 에틸렌 생산설비의 LPG 사용량을 현재 20% 수준에서 2022년 말까지 약 40%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향후 에틸렌 설비 능력에 따라 최대 50%까지 원료를 다변화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LPG 가격이 납사보다 낮을 때 투입 비중을 늘리는 등 원료 시황에 따라 선택 투입해 원가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롯데케미칼 대산공장은 이를 위해 지난 5월 중순부터 간이 보수를 통해 설비 추가를 위한 사전 공사를 마쳤다. 여수·대산공장은 LPG 설비 외에 대기오염원 배출 저감을 위한 공사를 추가로 진행해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배출물도 감축하기로 했다.
황진구 기초소재사업 대표는 "변화하는 사업 환경에 맞춰 경쟁력 있는 설비투자를 적기에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저탄소 원료 전환과 탄소배출 감축 등 ESG 경영 관점에서 구체적인 실천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롯데케미칼은 국내 여수와 대산에서 약 230만 톤의 에틸렌을 생산하고 있다. 미국·말레이시아 등 글로벌 생산기지를 합하면 총 450만 톤의 에틸렌 생산량을 보유해 국내 1위, 세계 7위권 수준의 에틸렌 생산량을 기록하고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 롯데케미칼-SK가스, 수소사업 공동 추진 MOU
- 롯데케미칼, 전기차 배터리 소재 생산시설 2100억 투입
- 롯데케미칼-에어리퀴드코리아, 수소 모빌리티 시장 진출 MOU
- 롯데케미칼, 1분기 영업익 6238억원 '흑자전환'
- "탄소배출이 新무역장벽···국가적 지원 필요"
- 롯데케미칼, 2030년 국내 수소 수요 30% 공급···로드맵 발표
- 석유화학, 전방산업 호조에 2분기 영업익 1조원대 '무난'
- 롯데케미칼, 2분기 영업익 5940억 '1704%↑'···"친환경 수요 증가"
- 롯데케미칼, 화학사 첫 ESG전용 펀드 조성
- 롯데케미칼-범한퓨얼셀, 친환경 사업 파트너십 구축
- 롯데케미칼, 3분기 영업익 2883억원···전년비 48.8%↑
- 롯데케미칼, 대산공장 배관 보온재 '에어로젤'로 교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