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롯데케미칼은 2030년 탄소중립성장 달성과 함께 국내 수소 수요의 30%를 공급하겠다는 내용이 담긴 친환경 수소 성장 로드맵 '에브리 스텝 포 H2(Every Step for H2)'를 13일 발표했다.
롯데케미칼은 2030년까지 약 4조4000억원을 단계적으로 투자해 약 3조원의 매출과 10% 수준의 영업이익율을 실현할 계획이다.
앞서 롯데 화학BU는 지난 2월 기후 위기 대응, 그린 생태계 조성, 자원선순환, 친환경 사업 추진을 내용으로 하는 '그린 프로미스(Green Promise) 2030'을 선언했다.
이번에 발표한 수소 로드맵은 2030년 탄소중립성장에 이어 2040년 탄소중립을 이뤄내고, 환경영향물질 저감과 함께 친환경사업 매출을 증대시키겠다는 수소 사업 목표와 추진방향을 구체화한 것이다.
롯데케미칼은 △롯데그룹의 물류·유통 인프라, △사업장 내 연료전지·터빈을 활용할 수 있는 대규모 소비처와 수소 충전소·발전소에 대량으로 공급이 가능한 대규모 보유망, △수소탱크·탄소포집 기술·그린암모니아 열분해 등 친환경 기술 역량을 기반으로 수소사업 로드맥을 실현시켜 나갈 계획이다.
먼저 청정수소 생산을 선도한다는 계획이다. 생산 중인 부생수소를 기반으로 2025년까지 탄소포집 기술을 활용해 블루수소 16만 톤을 생산한다. 2030년에는 그린수소 밸류체인을 완성해 블루수소(16만 톤)와 그린수소(44만 톤)가 혼합된 60만톤 규모의 청정수소를 생산할 예정이다.
국내 수소 활용 사업도 견인한다. 2024년 울산 지역 연료전지 발전소 운영을 시작해 2025년까지 액체 수소충전소 50개를 구축하고, 점진적으로 2030년에는 복합충전소를 200개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또 사업장 내 연료전지 발전소와 수소터빈 발전기를 도입해 탄소 저감된 전력으로 환경 친화적인 공장을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보유한 역량을 기반으로 수소 저장용 고압 탱크를 개발해 2025년 10만개, 30년에는 50만개로 확대 생산해 수소 승용차·상용차에 적용하는 걸 목표로 세웠다.
탄소포집활용·저장(CCU/CCS, Carbon Capture Utilization/ Storage) 기술을 단계적으로 적용해 탄소 중립에 기여하고, 동시에 암모니아 열분해 및 그린수소 생산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황진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대표는 "선제투자의 관점에서 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초기에 인프라 구축을 차질없이 추진하고자 한다"며 "그린수소 시대가 도래하면 기구축된 공급망을 통해 수요자들이 탄소 걱정 없는 친환경 소비를 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롯데케미칼이 주도하는 그린 순환 생태계가 우리의 친환경적인 풍요로운 삶에 기여하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 삼성화재-롯데케미칼, '중대재해 예방 위한 위험관리 파트너십' 업무협약
- 롯데케미칼, 납사 줄이고 LPG 늘리고···에틸렌 설비 효율화
- 롯데케미칼-SK가스, 수소사업 공동 추진 MOU
- 롯데케미칼, 전기차 배터리 소재 생산시설 2100억 투입
- 롯데케미칼-에어리퀴드코리아, 수소 모빌리티 시장 진출 MOU
- 석유화학, 전방산업 호조에 2분기 영업익 1조원대 '무난'
- 롯데케미칼, 2분기 영업익 5940억 '1704%↑'···"친환경 수요 증가"
- 수소충전소 '실시간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본격 가동
- 롯데케미칼, 화학사 첫 ESG전용 펀드 조성
- 롯데케미칼-범한퓨얼셀, 친환경 사업 파트너십 구축
- 롯데케미칼, 3분기 영업익 2883억원···전년비 48.8%↑
- 롯데케미칼, 대산공장 배관 보온재 '에어로젤'로 교체
- 롯데케미칼, 기체분리막 CCU 설비 실증 완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