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한미약품은 희귀질환 신약후보 물질 글루카곤 아날로그(HM15136)와 GLP-2 아날로그(HM15912)가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임상 2상 시험계획 승인을 받았다고 21일 밝혔다.
한미약품은 글루카곤 아날로그를 선천성 고인슐린혈증 치료 신약으로 개발 중이다. 바이오의약품의 약효 지속시간을 늘려주는 한미약품의 플랫폼 기술 랩스커버리가 적용돼 주1회 투여 제형으로 개발되고 있다.
선천성 고인슐린혈증은 2만5000∼5만명 당 1명꼴로 발생하는 희귀질환이다. 현재까지 해당 질환으로 승인받은 치료제가 없어 환자들은 허가 이외의 의약품(오프라벨)을 사용하거나 외과적 수술에 의존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미국 FDA와 유럽의약품청(EMA)은 2018년 글루카곤 아날로그를 선천성 고인슐린혈증 희귀의약품으로 지정했다. 이어 2020년 EMA는 인슐린 자가면역증후군 희귀의약품으로, FDA는 소아희귀의약품(RPD)으로 추가 지정했다.
GLP-2 아날로그 역시 랩스커버리 기술을 활용해 월 1회 투여로도 약효가 지속될 수 있는 단장증후군 치료 신약으로 개발되고 있다. 단장증후군은 선천성 또는 생후 외과적 절제술로 전체 소장의 60% 이상이 소실돼 흡수 장애로 인한 급격한 영양실조를 일으키는 희귀질환이다. 10만명 당 5명 이하(신생아 10만명당 24명꼴)로 발생한다.
GLP-2 아날로그는 융모세포 성장 촉진 효과를 극대화해 환자의 영양분 흡수 효율을 높여준다. 미국 FDA와 유럽 EMA는 2019년 GLP-2 아날로그를 단장증후군 치료 희귀의약품으로, 2020년에는 FDA가 소아희귀의약품(RPD)으로 지정했다.
- 한미약품, 서브원 손잡고 코로나19 신속항원키트 국내유통
- 한미약품 "유전자백신·진단키트로 코로나19 극복"
- 국내제약사, JP모건 콘퍼런스서 세계투자 노린다
- 한미약품, 전직원 재택근무···선제적 3단계 지침 적용
- 한미약품 개발 항암신약 '포지오티닙' 내년 미국 허가 신청
- 한미약품, 송영숙 회장 제정 '자랑스러운한미인상' 첫 수상자 발표
- 한미약품 백혈병 신약후보물질 투여 환자서 치료효과
- 한미약품 "먹는 항암제 오락솔, 주사제보다 우수한 효과"
- 한미약품, 제약·바이오업계 첫 K-ICT 정보보호 우수상
- 한미약품·GC녹십자, 리소좀 축적질환 신약 공동개발
- 한미약품, 네가지 성분 담은 고혈압·고지혈증 복합제 허가
- 한미약품, NASH 치료제 개발 '파란불'
- 한미약품, 작년 영업익 53.1% 감소···사노피 기술수출 해지 영향
- 휴먼스케이프·대웅제약, 희귀질환 신약 공동연구
- "한미약품, '오락솔' 승인 시점 지연 가능성 상승"-DB금융투자
- 5년새 신약 2건 성과 올린 한미약품···배경엔 R&D
- 한미약품, 임직원용 어린이집 개원
- 식약처, 애시미닙·아자시티딘 희귀의약품 지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