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크기 설정
기사의 본문 내용은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050 탄소중립'에 대해 "피해갈 수 없는 과제라면 국익과 우리 미래세대를 위해 '상황 적응'보다 '과감한 선제 대응'이 더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된 제22차 비상경제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2050 탄소중립을 목표로 '3+1' 전략을 마련해 추진하겠다며 이 같이 말했다.
3+1 전략은 △경제구조 저탄소화 △저탄소 산업생태계 조성 △탄소중립사회로의 공정전환으로 구성된 3대 정책 방향과 △탄소중립 제도 기반 강화의 +1 전략이다.
홍 부총리는 "탄소중립을 통한 지속가능한 경제로의 전환은 시대적·세계적 흐름으로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며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 높은 화석연료 비중, 높은 무역의존도 등 우리 여건을 고려할 때 매우 도전적인 과제"라고 설명했다.
이어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의 기로에서 기회를 선점할 수 있도록 선제 대응해 탄소 중립과 경제성장, 국민 삶의 질 향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우리 경제·사회의 부담은 최소화하고 우리의 역량은 최대한 활용하는 방향으로 탄소중립 실현 방안을 모색했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 최태원 "ESG경영 가속화가 환경위기·코로나 극복 해법"
- [전문] 文대통령 "한국판 뉴딜, 사람 중심 가치·혁신적 기술 접목"
- [CEO&뉴스] 최정우 포스코 회장 "뉴모빌리티 시대 대응" 강조
- 정부, 공공건물 '그린 리모델링'···그린 뉴딜 세부계획 발표
- LG화학, 2050 탄소중립 성장···배출량 1천만톤 수준 억제
- 정부, 탄소저감기술 투자 기업 최고 12% 세액공제
- [기자수첩] 탄소배출권 시장 개편해야
- 홍남기 "내년 보험설계사·학습지 교사·택배기사 고용보험 적용"
- 탈석탄·탈원전 가속, 신재생 4배 확대···'9차 전력계획' 공청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