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LG전자가 캐나다에 보급형 스마트폰 2종을 출시하며 실속형 스마트폰 시장 공략에 가속도를 낸다.
LG전자는 4일(현지시간) 벨, 비디오트론 등 캐나다 이동통신사를 통해 'LG K61', 'LG K41S' 등을 출시했다. 두 제품은 앞서 지난 5월 멕시코, 브라질 등 중남미 시장에 출시됐으며 LG K61(한국 모델명 LG Q61)은 지난달 말 한국에도 출시됐다.
LG전자는 2분기에 유럽, 아시아 지역 주요 국가에도 신제품 2종을 순차 출시할 계획이다.
보급형 스마트폰 2종은 후면에 표준, 초광각, 심도, 접사 등 4개의 고급 렌즈를 탑재했다. 고객이 후면 쿼드 카메라를 사용하면 초광각부터 접사까지 다양한 사진을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다.
LG전자는 영상 콘텐츠를 즐기는 고객이 늘어나는 것을 고려해 두 제품 모두 6.5인치 대화면 디스플레이를 탑재했다. 또 LG K61, K41S 각각 19.5대 9, 20대 9 시네마틱 비율을 구현해 몰입감을 높였다. 전면카메라가 차지하는 면적도 줄였다. 이를 위해 LG K61, K41S에 각각 '홀인', 'V노치' 스타일 디자인을 적용했다.
보급형 2종은 4000mAh 대용량 배터리를 탑재해 동영상 시청, 웹서핑 등 전력 소비가 많은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배터리 걱정을 덜었다.
입체음향의 강점은 그대로 계승했다. DTS:X 3D 입체음향 기능을 탑재, 고품격 입체음향을 구현한다.
두 제품은 미국 국방부 군사표준규격인 '밀리터리 스펙'을 통과, 내구성도 강화됐다. 이 표준은 군 작전을 수행하기에 충분한 내구성을 갖췄다는 의미로 저온(포장상태·비포장상태), 습도, 고온(포장상태·비포장상태), 진동, 충격, 열충격 등을 테스트한다.
정수헌 LG전자 MC해외영업그룹 부사장은 "고객에게 꼭 필요한 기능과 가격 경쟁력을 갖춘 실속형 제품을 지속 출시해 고객 선택의 폭을 넓혀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 KT·LG전자·LGU+, 인공지능 국가경쟁력 위해 손잡았다
- LG전자, 獨 밀레와 로봇청소기 특허 사용계약 체결
- "아무 것도 하지 않는 것이 실패"···구광모 회장 '현장 행보'
- LG전자, 블록체인 플랫폼 '헤데라 해시그래프' 운영위 참여
- LG전자 직원, 서울역 빌딩서 투신···경찰 "동기 파악 중"
- '스팀 가전' LG 트롬 스타일러 "대용량 제품 판매량 30%↑"
- LG 프라엘 더마 LED 마스크 'K마크' 규격 시험 통과
- 코로나19에 항공·스마트폰·디스플레이 '타격'···1분기 실적 급감
- LG 나노셀 AI ThinQ 라인업 확대···"프리미엄 TV 시장 공략"
- LG 벨벳,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 김소연 대표편에 등장
- "LG전자, 글로벌 가전 업체 중 2분기 실적 돋보일 것"-하나금융투자
- LG전자 "48인치 LG 올레드 TV, 중형 시장 게임 체인저"
- LG전자, 에너지효울 1등급 상업용 스탠드 에어컨 출시
- LG전자, 대만 상영관에 'LED 시네마 디스플레이' 공급
- LG전자 "환경의 날 기념 환경보호 실천 비대면으로"
- LG 휘센 에어컨 생산라인, 무더위에 풀가동
- 하반기 폴더블폰 경쟁 MS도 참전···삼성·화웨이와 붙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