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화순면역치료혁신센터.(사진=전남도)
전남 화순면역치료혁신센터.(사진=전남도)

[서울파이낸스 임왕섭 기자] 전라남도가 2026년 정부 연구개발(R&D) 신규 예산 235억원을 확보했다. 이는 올해 164억원보다 43.2% 늘어난 규모로, 총사업비 기준 2045억원(국비 1689억원)에 달한다.

전남도는 이번 예산을 기반으로 바이오, 이차전지, 탄소중립 등 미래 성장동력을 본격 육성하고, 석유화학산업의 경쟁력 강화에도 속도를 낼 방침이다.

바이오 분야에서는 차세대 융합면역치료 원천기술 개발(40억원) 연구가 본격화된다. 화순 바이오 특화단지를 거점으로 암세포 내성에 대응하는 미래형 면역항암제를 개발해 글로벌 시장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이차전지 분야는 해양배터리 특화 데이터 허브 플랫폼 기술개발(20억원)이 반영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계사업으로 추진되는 이 사업은 해양배터리 데이터 허브 구축을 통해 해양배터리 산업 활성화와 연관산업 확산 효과가 기대된다.

석유화학 분야에는 △다중 배출원 적용 CO₂ 전처리·액화·벙커링 허브 실증(40억원) △선상용 CO₂ 포집 기술개발 및 실증(55억원) △미래 모빌리티용 고분자 공중합체 제조기술 개발(55억원) 등 총 150억원 규모가 반영됐다. 이를 통해 탄소포집 핵심기술을 선도하고 석유화학산업의 고부가가치 전환을 촉진할 전망이다.

김기홍 전남도 전략산업국장은 "연구개발은 초혁신성장과 K-프리미엄의 기틀을 세우는 핵심 투자"라며 "대학·연구기관 등 혁신 주체와 협력을 강화하고 중앙부처와의 소통을 확대해 미래 산업 연구개발을 지속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의 2026년 연구개발 예산안은 35조 3000억원으로, 2025년(29조 6000억원) 대비 19.3% 증가해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전남도는 정부 투자 기조에 발맞춰 AI, 에너지, 바이오 등 전략 산업 분야에서 국가적 연구개발 거점으로 입지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