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사진=미래에셋자산운용)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사진=미래에셋자산운용)

[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의 자산가치가 올해 들어 1조697억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내 창업가 중에서는 자산이 가장 많이 늘었다.

2일 리더스인덱스가 50대 그룹 오너일가 중 계열사 지분을 보유한 623명의 자산가치 증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들의  총 자산은 144조4857억원으로 올해 초 111조5466억원에 비해 약 29.5% 늘었다.

박현주 회장의 총 자산은 총 4조8497억원으로 집계됐다. 미래에셋캐피탈의 지분 가치가 올해 초 8959억원 증가한 1조3745억원, 미래에셋운용은 1340억원 증가한 2조4665억원, 미래에셋컨설팅은 398억원 증가한 1조87억원으로 평가됐다. 개인 자산 증가액 순으로는 전체 9위지만, 상위 10위 내에서 유일한 창업자 출신 오너다.

미래에셋증권의 주가 상승이 두드러진 가운데 그룹 해외법인 성과 확대와 글로벌 사업 성장세가 주요 배경으로 분석된다. 

개인 자산 증가 1위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었다. 올해 상반기 동안 자산이 4조7167억원 늘어 약 16조6267억원으로 조사됐다. 보유중인 삼성물산의 주가가 48% 올라 지분가치가 1조8465억원 늘어난 영향을 크게 받았다. 또 삼성전자(1조5895억원↑), 삼성생명(1조774억원↑)의 주가 상승도 자산 증가에 기여했다.

삼성그룹 내 계열사들의 주가 상승은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4조7950억→6조7394억원, 증가액 3위), 모친인 홍라희 리움미술관 명예관장(5조4466억→7조1448억원, 5위), 이서현 삼성물산 전략기획담당 사장(4조1694억→5조7559억원, 6위)의 자산 가치도 크게 높였다.

2위는 조현준 효성그룹 회장이었다. 조 회장의 자산 가치는 총 2조9964억원으로 올해초에 비해 1조9873억원늘었다. 조석래 명예회장 별세 이후 지분 증여와 동생인 조현상 HS효성 부회장과의 계열분리 과정을 거치면서 자산이 늘었다.

4위는 정의선 현대자동차 그룹 회장으로, 현대글로비스 무상증자 효과로 보유지분 20%의 가치가 1조7000억원 넘게 늘었고, 총 자산도 1조8348억원 증가해 5조5780억원이 됐다.

8위는 HD현대 최대주주인 정몽준 아산재단 이사장이 증가액 1조821억원을 기록(총 2조8807억원)했고, 10위는 9852억원 불어난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총 1조7946억원)이 자리했다.

동생인 김동원 한화생명 사장(3926억원→9117억원, 16위)과 김동선 한화갤러리아 부사장(3968억원→9476억원, 15위)도 상위권에 랭크됐다.

이 외 최태원 SK그룹 회장(1조7163억원→2조6904억원),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겸 경영쇄신위원장(4조3604억원→5조1645억원), 이재현 CJ그룹 회장(1조2422억원→2조164억원) 등이 11~13위에 올랐다.

리더스인덱스는 이번 조사에서 상장사와 비상장사를 모두 포함했다고 설명했다. 상장사는 2025년 1월 2일과 8월 29일 종가를 비교하고 비상장사는 2023·2024년 결산자료 및 반기보고서를 참고해 순자산가치를 추정했으며, 보유 주식수는 8월 8일 기준으로 반영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