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박소다 기자] 정부가 전 국민에게 지급한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실제로 소상공인의 매출 증대와 고객 증가로 이어지며 전통시장과 골목상권 활성화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상공인 10명 중 7명은 소비쿠폰 정책에 만족하며, 유사 정책의 추가 시행을 희망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도 나왔다.
12일 소상공인연합회와 전국상인연합회가 진행한 '소비쿠폰 효과성 실태조사'에 따르면, 소비쿠폰 사용 이후 55.8%의 소상공인이 매출 증가를 경험했다고 경험했다. 이 중 절반 이상인 51.0%는 매출이 10~30% 증가했다고 답했다. 업종별로는 도매업이 68.6%로 가장 높은 매출 증가율을 보였고, 식음료업(52.6%)이 뒤를 이었다.
이번 실태조사는 일반 골목상권 및 전통시장의 도·소매업, 숙박업, 식음료업, 교육서비스업 등에 종사하는 소상공인 20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형식으로 진행했다.
고객 수 역시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의 51.8%는 방문 고객이 증가했다고 밝혔고, 이 중 52.1%는 10~30%의 고객 증가율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이를 두고 소상공인연합회는 "소비쿠폰이 단순한 매출 증가를 넘어, 실제 고객 유입을 통해 지역 상권에 활력을 불어넣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신호"라고 평가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지난달 21일부터 신청이 시작됐으며, 개시 18일 만에 신청률 95.2%를 기록하는 등 국민의 참여도도 매우 높았다. 이 정책은 1인당 15만~45만원 상당의 소비쿠폰을 지급해 지역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중심으로 소비를 유도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정책에 대한 소상공인들의 전반적인 인지도는 99.5%에 달했으며, 만족도도 70.3%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75.5%는 해당 정책이 전통시장과 골목상권 이용을 유도하는 데 효과적이었다고 평가했다. 63.0%는 소비 진작에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해 소비쿠폰이 실질적인 경기 활성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입증했다.
향후 유사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70.1%에 달했다. 소상공인들은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개선 방안으로 △사용처 골목상권에 집중(49.8%) △쿠폰 금액 확대(47.4%) △가맹점 등록 간소화(15.3%) 등을 꼽았다.
송치영 소상공인연합회 회장은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단순히 소비를 늘리는 것을 넘어, 소상공인들이 위기를 극복하고 재도약할 수 있는 중요한 발판이 되고 있다"며 "정부와 민간이 함께 소상공인 경기 회복을 위한 정책을 꾸준히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