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크기 설정
기사의 본문 내용은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서울파이낸스 김완일 기자] CJ대한통운은 박스를 자동 분류해 파렛트에 쌓는 '이동형 로봇 팔레타이저'를 인천GDC에 도입했다고 17일 밝혔다.
물류를 포장 및 파렛트에 적재하는 팔레타이징 작업은 현장에서 신체에 많은 부담을 주는 작업으로 꼽힌다. CJ대한통운은 이러한 작업을 이동형 로봇으로 대체해 효율성 증대 및 작업자의 신체적 부담을 저감하고자 했다.
이동형 로봇 팔레타이저는 AI비전으로 박스 크기를 실시간 인식해, 각기 다른 도착지로 가는 여러 크기의 다양한 박스들을 자동으로 분류 및 적재할 수 있다.
기존 고정형 팔레타이저와 달리 앞뒤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구조로 설계돼 최대 4개의 파렛트를 동시에 작업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또한 이동형 설계에 따라 바닥 고정장치 없이 설비를 자유롭게 재배치할 수 있어, 설치와 이동의 유연성도 개선됐다.
구성용 CJ대한통운 자동화개발담당은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의 성장과 함께 물류 현장도 점점 더 다양하고 복잡해지는 만큼, 이를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술 도입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며 "국내외 다양한 물류 현장에서 검증된 자동화 기술과 시스템을 바탕으로, 현재 사우디에서 건설 중인 GDC에도 기술을 적극 도입해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