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내포) 하동길 기자] 세계 최대규모의 스마트팜이 사업비 총 5440억원을 들여 2028년까지 당진시 석문면 석문간척지에 조성된다.
김태흠 지사는 26일 도청 상황실에서 오치훈 대한제강 회장, 오성환 당진시장과 '에코-그리드(Eco-Grid) 당진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투자양해각서를 체결했다.
특히 이 스마트팜단지는 인근 제철소 폐열을 냉·난방 에너지로 활용, 입주 농업인들이 에너지 비용을 크게 절감하며 탄소중립까지 실현한다.
투자양해각서에 따르면, 대한제강은 2028년까지 총 5440억원의 사업비를 당진 석문간척지(석문명 통정리 일원) 내에 119만㎡(36만평) 규모 스마트팜단지(이하 석문 스마트팜단지)를 조성한다.
현재 국내 최대 스마트팜단지는 경북 상주, 경남 밀양, 전북 김제, 전남 고흥 등 4곳에 조성된 스마트팜혁신밸리로, 각 면적은 20만㎡(6만평)에 달해 석문 스마트팜단지가 완성되면 국내를 넘어 '세계 최대' 타이틀을 거머쥐게 된다.
석문 스마트팜단지는 △청년 임대 온실 28만 4297㎡ △청년 분양 온실 13만 8843㎡ △일반 분양 온실 60만 1653㎡ △모델 온실 4만 6281㎡ △육묘장, 가공·유통센터, 저온저장고, 선별 포장센터 등 공공지원시설 11만 9008㎡ 등으로 구성한다.
분양은 당진을 비롯한 충남 청년에게 우선할 예정으로, 도는 다양한 금융 지원을 통해 청년농 등의 부담을 덜어 줄 방침이다.
석문 스마트팜단지가 무엇보다 주목되는 것은 2028년 인근에 들어설 와이케이(YK)스틸 공장과 연계해 탄소중립을 실현한다는 점이다.
대한제강 자회사인 YK스틸은 석문국가산업단지 내 15만 7296㎡의 부지에 부산 공장을 이전할 예정이다.
대한제강은 YK스틸 압연 공장 굴뚝에서 나오는 300℃에 가까운 폐열을 석문 스마트팜단지에 저렴하게 공급한다.
석문 스마트팜단지에서는 이 폐열로 온수를 생산, 겨울철에는 온실 파이프라인으로 흘려보내 온도를 높이고, 여름철에는 '흡수식 냉동기' 를 사용해 온실 내부 온도를 낮춘다.
이 때문에 석문 스마트팜단지 입주 농가는 에너지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일반 온실 3만 3000㎡(1만 평) 당 연간 에너지 비용을 5억 원으로 잡았을 때, YK스틸이 폐열을 2억 원 안팎으로 공급한다면, 농가는 3억 원 가량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석문 스마트팜단지 119만㎡ 전체로 따지면 연간 180억 원에 달하는 에너지 비용을 72억 원으로, 108억 원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농가들이 석문 스마트팜단지 가동을 통해 확보하는 연간 3만 1000톤의 탄소배출권은 YK스틸에 제공한다.
이는 YK스틸 공장이 연간 배출하는 탄소량의 절반에 달하는 규모다.
대한제강은 또 자회사인 농업회사법인 그레프(GREF)를 통해 석문 스마트팜단지 생산 농산물 전량을 매입·판매하는 시스템을 마련하고, 육묘와 가공·유통 등도 지원해 입주 농가는 생산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대한제강은 이번 1단계 119만㎡의 스마트팜단지가 성공적으로 가동하면, 인근에 2단계 53만㎡, 3단계 59만㎡의 스마트팜단지를 추가 조성할 계획이다.
김태흠 지사는 "대한제강이 산업 폐열을 활용해 스마트팜을 운영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며 "충남은 제조업이 발달해 공장들이 많이 있는데, 폐열을 활용한 친환경 비즈니스 모델이 널리 확산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이어 "이번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 모든 지원을 다하겠다"며 "특수목적법인(SPC) 설립, 지역활성화투자펀드는 물론, 농지 매각·매입 등 각종 인허가도 빠르게 진행될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성환 당진시장은 "국내 최대규모의 스마트팜 단지를 유치하게 되어 기쁘다"며 "이 스마트팜이 들어 설경우 청년농업인 1000명이상을 양성할 수 있어 농업미래를 밝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오치훈 대한제강 회장은 "오늘은 지속가능한 농업생산의 새로운 생태계조성의 역사적 현실"이라며 "철강산업의 버려지는 산업 부산물을 이용해 농업클러스터를 조성하는 사업은 새로운 생태설계이며, 농촌이 가진 산업을 실질적으로 육성하는 지속가능사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