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문영재 기자] 대선이 코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경제계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를 직접 만나 경제 현안에 대해 목소리를 내는 자리를 가졌다.
지난 8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와 경제5단체장 간 간담회에서 재계는 인공지능(AI) 육성부터 정년 연장, 주 4.5일제 도입까지 주요 현안을 정면으로 제기했다.
이에 이재명 후보는 통상 문제 등에 대해서는 같은 목소리로 화답했지만 민감한 사안에 대해서는 최근의 '우클릭 행보'와는 달리 신중한 입장을 견지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SK그룹 회장),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 류진 한국경제인협회 회장, 윤진식 한국무역협회 회장, 최진식 한국중견기업연합회 회장을 비롯해 삼성·LG·현대차 등 주요 기업인 약 300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성장 엔진이 꺼졌다고 진단하고, 통상환경 변화 대응과 규제 혁신 등 대대적 정책 전환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최 회장은 성장 방식 전환을 강조하며 경제 공동체 구상을 제시했다.
그는 "현재 2조달러에 못 미치는 한국의 국내총생산(GDP)을 일본과의 경제 연대를 통해 7조달러 규모로 키울 수 있다"며 "해외 투자를 통한 본원적 수지 중심의 경제 구조로 전환하고, 인구와 소비 기반을 확대해 체질 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류 회장은 "올해 한국 성장률이 1%를 넘기지 못할 것이란 암울한 전망이 나온다"며 "AI, 항공우주, 바이오, 스마트팜 등 미래 산업은 민간의 몫으로만 두지 말고 국가가 전면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미국, 중국, 일본 사례를 언급하며, 정부가 인프라를 직접 지원하는 동시에 세제 개선 등으로 기업 부담을 완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통상환경 변화에 대한 우려도 이어졌다.
윤 회장은 "최근 무역협회 조사에 따르면 수출기업 4곳 중 3곳이 미국발 관세로 피해를 보고 있다"며 "상호 관세 조치가 시행되면 수출 현장의 혼란이 불가피한 만큼 대미 통상 아웃리치에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제시된 건의사항은 '제21대 대선 미래 성장을 위한 국민과 기업의 제안'이라는 이름의 제언집으로 정리돼 이 후보에게 전달됐다.
이 제언집에는 AI 등 미래 성장 동력 확보, 신산업과 서비스업 중심 산업구조 개편, 수출 및 해외시장 확대, 노동·금융·인력 기반 조성 등 4대 분야에 걸쳐 14개 아젠다가 담겼다.
경제계는 이 후보의 일부 노동·세제 공약에 대한 쓴소리도 쏟아냈다.
손 회장은 정년 연장 정책에 대해 "청년 일자리 위축과 세대 간 갈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며 "일률적 법제화보다는 퇴직 후 재고용 등 유연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주 4.5일제 도입에 대해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격차를 더욱 벌릴 수 있다"며 노사 자율에 맡길 것을 제안했다.
최 회장은 "청년들이 이과는 의대, 문과는 로스쿨만 바라보는 현실이 이어진다면 국가의 기술 경쟁력은 무너진다"면서 "근본적인 인력 양성 시스템 개편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기업 승계 과정에서의 상속세 문제에 대해서도 "단순히 부의 대물림으로 볼 것이 아니라, 기업을 키워 일자리를 만드는 기반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후보는 "기업과 노동자 모두 타당한 입장이 있다"며 "밀도 높은 사회적 대화와 조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세제 개편 요구에 대해서는 "이해 관계가 복잡한 사안이라 즉흥적으로 결정할 수 없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