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문영재 기자] 기아가 2030년까지 글로벌 판매 확대와 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장기 성장 전략을 본격 추진한다.
기아는 9일 서울 중구 소재 신라호텔에서 '2025 CEO 인베스터 데이'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사업 계획을 공개했다. 구체적으로 올해 판매 목표를 322만대로 설정하고 △2027년 375만대 △2030년 419만대, 시장 점유율 4.5% 달성을 제시했다. 이는 중국 시장 판매 목표를 현실화에 따라 기존 430만대에서 11만대 조정한 수치다.
지역별로는 △북미 111만대 △유럽 77만대 △국내 58만대 △인도 40만대를 목표로 한다. 친환경차 판매 비중은 2025년 28%에서 2030년 56%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이중 전기차는 2030년 125만9000대, 하이브리드차 107만4000대 달성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친환경차 판매 비중을 북미 70%, 유럽 86%, 국내 73%, 인도 43%로 늘릴 방침이다.
전기차 전략의 경우 대중화 모델을 앞세워 풀라인업을 구축하고, 2026년 소형 전기차 EV2 출시를 통해 글로벌 전동화 리더십을 강화할 계획이다. 충전 기반시설 구축도 북미 5만기, 유럽 1만7000기, 국내 1만3000기로 설정했다. 목적기반모빌리티(PBV) 사업도 본격화한다. 올해 PV5를 시작으로 2027년 PV7, 2029년 PV9을 출시해 2030년까지 연간 25만대 판매를 목표로 한다.
픽업트럭 부문에서는 타스만을 통해 전동화 픽업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북미 시장에는 신규 전동화 픽업을 출시해 연 9만대 판매를 달성할 방침이다.
핵심 상품 전략은 커넥티비티, 자율주행, 주행성능, 디자인으로 삼았다. 이를 통해 커넥티드 스토어,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발전하는 차 개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배터리 기술도 5세대 고성능 배터리 개발을 통해 전기차 성능을 극대화한다. 모셔널, 슈퍼널, 보스턴다이나믹스 등과 협력해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역시 확장한다.
올해 실적은 매출 112조5000억원(4.7% 증가), 영업이익 12조4000억원(2.4% 감소)으로 제시했다. 영업이익률은 11.0%로 전망했다. 향후 5년간 투자 계획과 관련해서는 기존 5개년(2024~2028년) 계획 대비 4조원이 증가한 42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미래 사업에 대한 투자는 19조원이고, 절반 이상을 전동화에 투자할 방침이다.
송호성 기아 사장은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 공간을 혁신하고 시간을 가치 있게 만드는 브랜드가 되기 위해 끊임없이 변화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