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브리핑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발언하고 있다.(사진=박조아 기자)

[서울파이낸스 박조아 기자] 금융감독원 금융투자검사국이 홈플러스 대주주이자 사모펀드(PE)인 MBK파트너스를 대상으로 검사에 착수한다.

19일 이 원장은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브리핑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MBK 검사와 관련해 (이미) 신용평가사와 CP(기업어음) 주관사 검사를 시작했다"며 "이번 사건과 관련해 홈플러스에 여러 형태로 제기된 의혹을 확인하기 위해 MBK를 대상으로 금융투자검사국에서도 검사에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금감원은 지난 13일 홈플러스 회생신청과 관련된 의혹과 사실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신영증권과 한국신용평가, 한국기업평가 등의 검사에 착수한 바 있다. 금감원은 금융투자검사국, 조사국, 금융시장안정국 등 관련 부서를 주축으로 MBK 대응 TF(태스크포스)를 만들고 함용일 부원장이 총괄 지휘할 예정이다. 금감원은 최소 상반기까지 홈플러스 사태를 중점업무로 지정해 관리하고 성과를 낼 예정이다.

이 원장은 "회생절차 진행경과와 민원동향 등을 감안해 불완전판매 점검 시기와 강도를 조절할 예정"이라며 "공시조사 쪽에서도 불공정거래 조사를 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은 이번 조사에서 △MBK의 홈플러스 신용등급 하락 인지 시점 △전자단기사채 발행 판매 과정에서의 부정거래 의혹 △상환전환우선주(RCPS) 상환권 양도 과정에서 국민연금 등 LP의 이익침해 여부 등을 중점적으로 살펴볼 계획이다.

이 원장은 "우선 홈플러스가 진정성 있는 모습을 보여 협력업체와 투자자들에게 신뢰감 있는 파트너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며 "그런 의미에서 홈플러스 대주주인 김병주 MBK 회장이 정무위에 불출석한 것은 매우 유감스럽다"고 말했다.

이어 "협력업체 미지급 현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법원에서 선임한 홈플러스 구조조정 담당 임원 측으로부터 협조를 받아, 일별 내지는 항목별 미지급 현황을 제공 받아 분석하고 있다"며 "정부의 역할, 금융권의 역할이 무엇인지 이런 것들을 점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사모펀드 제도와 관련해 일부 사모펀드(PEF) 운용사의 일탈로 인해 신뢰가 크게 훼손 된 만큼, 일탈행위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점검하고 필요한 제도는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업권 전체가 매도되는 건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주의했다.

이 원장은 "운용사도 스스로 자정 노력과 함께 이해관계자들에게 시장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며 "PEF의 순기능과 역기능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보완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해 점검 할 예정이며, 이와 관련해 연구용역에 맡겼고 내부에서도 검토를 거쳐 금융위와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발생한 삼성SDI의 유상증자 사건과 관련해 "유상증자를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은 수용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삼성SDI는 최근 생산 능력 확대를 위해 신주 1182만1000주를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으로 찍어내 2조여원을 조달하기로 했다. 삼성SDI는 조달한 자금으로 2026년까지 국내 전고체 배터리 생산 설비와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의 합작사(JV), 헝가리법인 등에 투자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주주들은 주주가치를 훼손시키는 상황이라며 비판했다.

이 원장은 "기본적으로 자본 시장은 기업 입장에서 보면 자금 조달이 주 목적이며, 투자가 필요한 경우에는 증자로 시장을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며 "한국 주식 거래의 특성상 장기투자 보다는 단기투자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그런 관점에서 보면 유상증자가 악재로 보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기업의 가치가 사업 투자의 성격에 따라선 중장기적으로 성과가 나타날 수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유상증자를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을 수용하기는 어렵다"며 "증권신고서상 투자자들이 알아야 할 정보가 충분히 기재돼 정리가 된다면 당국 입장에서는 최대한 신속하게 며칠 내라도 효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조치를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삼성SDI 유상증자에 대해서는 최대한 신속하게 투자자금 조달 일정에 차질 없도록 증권신고서 심사 등을 처리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