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18일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한 홈플러스와 관련, 단기채권 불완전판매 의혹에 대해 "철저히 조사해 위법 여부를 판단하고 엄정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홈플러스 관련 정무위원회 긴급 현안질의에 참석해 "기업어음(CP)이나 자산유동화증권(ABS) 같은 부분을 면밀히 보고 있다"고 말했다.
현안 질의에서는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을 신청하게 된 결정적 요인인 '신용등급 하락'을 사전에 인지하고도 CP와 카드대금 기초 전자단기사채(ABSTB)를 무리하게 발행했다는 질타가 쏟아졌다.
홈플러스 채권이 증권사 창구를 통해 일반 투자자들에게 대거 판매됐던 터라 대규모 투자자 손실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김남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신영증권이 홈플러스 채권을 불완전 판매했다는 의심이 든다"며 "홈플러스 신용 상태를 점검해야 하는데, 신용등급이 크게 하락할 상황임에도 이를 모르고 채권을 판매했다는 것은 믿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김 위원장은 또 홈플러스가 신용등급 하락 가능성을 인지한 상황에서 채권을 발행한 것을 두고는 "사기죄 부분도 필요시 조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다양한 측면에서 현황을 파악 중으로 신영증권과 신용평가사에 대한 검사는 이미 착수한 상태"라며 "법률적 이슈에 대한 조치 등을 향후 검사·조사에 반영하겠다"고 말혔다.
사모펀드의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는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지적에 대해서도 김 위원장은 "공감한다"며 "전반적으로 사모펀드 운용의 투명성을 높이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이 원장은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 MBK파트너스에 대한 검사·조사를 엄중히 하겠다"면서도 "사모펀드가 우리 경제에서 차지하는 역할과 순기능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 MBK 김병주 대표 '사재출연'···"홈플러스 사태 책임 다하겠다"
- 정부, 홈플러스 기업회생 동향 점검···"금융시장 영향 제한적"
- 홈플러스, 회생절차 피해 사과···"모든 채권 상환할 것"
- 금감원, 홈플러스 회생 신청 관련 신영증권·신평사 검사 착수
- 홈플러스 사태 불똥 튈라···금융권, 피해 확산 차단 '총력'
- 이복현 금감원장 "삼부토건 주가조작 조사, 6월 임기 내 처리"
- 금감원, 5월까지 홈플러스 사태 대응 TF 운영
- 윤한홍 정무위원장 "밸류업, 자본시장 큰 숙제지만 뚜렷한 성과 없어"
- [기자수첩] '악당' 된 사모펀드, 신뢰 회복하려면
- 홈플러스 전단채 피해자 모임, 김병주 MBK 회장 등 사기 혐의 고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