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가 신축매입임대주택 공급 확대에 속도를 낸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5일 오전 서울시 은평구 소재 신축매입임대 건설현장을 찾아 사업 추진 현황 및 향후계획을 점검했다.
신축매입임대는 민간의 신축주택 건설 전에 매입약정을 체결하고, 건설 후 공공주택사업자가 매입해 임대주택으로 공급하는 사업이다.
이날 방문한 주택은 분양전환할 수 있는 매입임대주택으로, 시세 대비 저렴한 임대료로 6년간 살아보고 분양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신혼부부 및 신생아 가구를 대상으로 공급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지난달 19일 발표한 '지역 건설경기 보완방안' 등 그간 대책에 따라 2024~2025년 신축매입임대 11만호를 차질없이 공급해 주택 공급 확대 및 건설경기 활성화를 지속 지원할 계획이다.
지금까지 매입가 현실화, 사업자 자금지원 강화, 각종 규제 완화 등 사업 활성화를 위해 정부 역량을 집중, 지난해에는 역대 최대인 4만1000호 약정을 체결했다.
올해에는 공급 확대효과를 국민들이 빠르게 체감할 수 있도록 신속한 착공과 시장공급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착공 시 매입대금의 최대 10%까지 선지급하는 조기 착공 인센티브를 신규 도입하는 등 사업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을 지속한다는 계획이다.
또 한국토지주택공사(이하 LH)도 조기착공지원팀을 신설해 밀착 지원하는 등 실제 입주도 최대한 빠른 시일 내 이뤄질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박 장관은 "신축매입임대로 도심 내 양질의 주택이 공급되며 지역 생활권 활성화, 침체된 건설업계 활력 제고 등이 기대된다"면서 "특히 사회초년생, 신혼부부가 저렴한 임대료로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주택을 정부가 적극 공급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민이 빠른 시일 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이 될 수 있도록 단계 별로 빈틈없이 관리하는 한편, 각 사업현장 별로 해빙기 안전 관리에도 유의해 줄 것"을 LH 및 현장 관계자에게 주문했다.
한편 이날 건설 현장에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 이한준 사장, 민간 건설사 등 사업 관계자가 참석, 신축매입임대 사업 추진 현황과 현실적 애로사항에 대해 논의했다.
- 국토부, 전국 건설현장 2만2천곳 집중 점검
- 사망사고 발생 건설사 명단 다시 공개···"추락사고 매년 10% 감축"
- '붕괴 교량'과 같은 공법 사용 고속도로 3곳 공사 중지
- 여의도 15배 그린벨트 해제···부산 등 15곳 지역전략사업 선정
- 수도권 디딤돌·버팀목 대출금리 0.2%p 추가 인상
- LH, 올해 분양·임대주택 8만8천호 입주자 모집
- 국토부, 도시 건축디자인 총괄 건축가 지원사업 공모
- 서울시, 세운지구 6-1-1구역 정비계획 직접 수립
- 전국 빈집 한 눈에···정부, '빈집애' 누리집 개편·운영
- 토허제 해제로 집값 뛴 강남3구···서울시, '투기 차단 점검반' 투입
- 서울 장위12구역에 1386가구 아파트···2029년 착공
- 국토부, 하자판정 상위 건설사 공개···한화, 6개월간 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