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서초사옥 (사진=오세정 기자)
삼성전자 서초사옥 (사진=서울파이낸스 DB)

[서울파이낸스 여용준 기자] 삼성전자의 차기 이사회에 대해 "아쉽다"는 의견이 나왔다. 특히 기존 사외이사인 허은녕 서울대 교수와 유명희 전 통상교섭본부장 외에 신임 후보인 이혁재 서울대 교수 등 기존 이사진에 대해서는 "상장사 이사의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은 21일 이 같은 내용의 논평을 내고 삼성전자에 대해 "이사회 역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앞서 삼성전자 이사회는 지난 18일 정기주총 소집 결의를 하면서 이사후보 선임의 건을 승인했다. 현재 사내이사 3명, 사외이사 6명으로 구성된 이사진 중 임기가 만료되는 김준성, 허은녕, 유명희 사외이사는 연임, 이혁재 서울대 전기공학부 교수를 신임 후보로 선임한다. 또 사내이사는 전영현 대표이사 부회장과 송재혁 사장을 신임 후보로 선임하고 노태문 사장을 연임시키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이사회에 현재 1명뿐인 반도체 전문가를 3명으로 늘려서 본격적인 경쟁력 회복에 나서겠다고 개편 취지를 밝혔다. 그러나 포럼은 이에 대해 "이사회 역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함을 시사한다"고 주장했다. 

포럼은 TSMC 창업자인 모리츠 창 전 회장의 말을 인용해 "이사회가 경영진을 임명하므로 이사회는 기업거버넌스의 주축이다. 이사회는 3가지 역할이 있는데 (경영진을) 감독, 지도 및 임명·평가·해임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선진국에서는 상장사 이사가 되기 위한 기본 조건으로 리더십, (민간기업) 경영 경험, 다른 이사회 경험, 자본배치 등 기업거버넌스 개념에 대한 이해 등을 꼽는다"며 "이번에 새롭게 후보로 선임된 이혁재 교수 뿐 아니라 기존 사외이사인 허은녕 서울대 교수, 유명희 전 통상교섭본부장은 위 조건 대부분을 충족시키지 못한다"고 전했다. 

포럼은 "삼성전자 이사회에 반도체 전문가는 전영현 부회장 한 명이면 충분하다. 삼성은 이미 수많은 반도체 전문가를 사내에 보유하고 있다. 삼성전자가 절실히 필요한 이사는 글로벌, 독립적인 관점에서 쓴 잔소리를 할수 있는 기업 경영을 직접 경험한 베테랑이다. 전현직 외국인 CEO, 소프트웨어·AI 전문가, 자본시장·거버넌스 전문가가 삼성전자 이사회에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포럼은 "독립적인 이사회라면 사외이사 후보의 선택지가 훨씬 광범위하여 세계 최고의 인재를 대상으로 선택 가능했을 것"이라며 "아직 삼성전자가 좋은 사외이사 후보를 찾는 노력이 많이 부족해 보인다"고 전했다. 

이어 "삼성전자가 현재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선 기술경쟁력 뿐 아니라 리더십, 조직문화, 평가보상, 이사회 등 거버넌스 전반에 걸친 혁신이 필요하다"며 "글로벌한 TSMC 이사회 구성 및 운영을 배워야 하는데 삼성전자의 이번 이사 선임 의안은 매우 실망스럽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