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문영재 기자] 제주항공이 무안공항 여객기 참사로 올해 상반기 있을 국토교통부 노선배분 경쟁에서 뒤처지게 될 전망이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통합하면서 점유율 50%가 넘는 노선 34개를 국토부가 저비용항공사(LCC)에 먼저 배분하기로 했는데, 분배 평가 항목 중 안전성 비중이 30%로 가장 많이 차지해서다.
3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국토부는 올해 상반기 중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통합으로 두 항공사 점유율이 50%가 넘는 노선 34개를 LCC에 나눠준다. 이는 공정거래를 실현하기 위한 공정거래위원회의 시정 조치에 따른 것이다. 공정위는 두 항공사가 운항하는 국제선 65개 중 26개, 국내선 22개 중 8개를 배분노선으로 지정했다.
주요 배분 대상 노선으로는 중국 장자제, 일본 오사카,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태국 푸껫 등이 꼽힌다. 이들 노선은 모두 국내에서 관광, 비즈니스 탑승객 수요가 많아 황금노선으로 불린다. 업계는 이들 노선 대부분이 제주항공, 이스타항공에 돌아갈 거라고 봤다. 대한항공 계열 LCC인 진에어, 에어부산, 에어서울이 분배 대상에서 빠져서다. 티웨이항공은 대한항공으로부터 프랑스 파리, 독일 프랑크푸르트, 스페인 바르셀로나, 이탈리아 로마 등 유럽 주요 노선을 넘겨 받아 이번 분배에 큰 관심이 없는 상황이다.
하지만 제주항공은 지난해 말 벌어진 무안공항 여객기 참사로 배분 경쟁에서 타격을 입게 될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는 운수권배분규칙에 따라 항공사를 평가, 노선을 배분한다. 평가 항목은 △안전성(35점) △이용편의성(20점) △항공산업경쟁력강화(25점) △국가정책기여도(20점) △인천공항환승기여도(10점)다. 이중 안전성 평가가 약 30%로 비중이 가장 높다. 안전성 평가에서는 최근 3년 사이 항공기 사고, 사고에 따른 사망자 수를 반영하도록 돼 있다. 제주항공은 이번 참사로 국내 항공기 사고 중 가장 많은 사망자를 냈다. 평가에서 불리할 수밖에 없다.
LCC 업계 관계자는 "기존 흐름대로 였다면 제주항공이 많은 노선을 가져갔겠으나, 지금으로서는 불투명한 상태"라고 말했다. 제주항공 측은 "사고를 수습하고 신뢰를 회복하는 게 우선"이라면서 "정비 인력을 지속 확충하는 한편 올해 3월까지 동계 운항량을 10~15퍼센트(%) 감축, 고객에 안전 운항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 손보 사회공헌협의회, 제주항공 사고 피해 유가족에 1억원 기부
- [포토] 윤환 계양구청장, 을사년 새해 맞아 '3.1만세운동 기념탑 참배'
- 경기도·경남도,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구호지원금 전달
- [제주항공 사고] 자원봉사자 따뜻한 손길 이어져
- 제주항공 "항공권 취소 많지만, 신규유입도 지속돼"
- 이호성 하나은행장 취임···"고객First 문화 뿌리내릴 것"
- 제주항공 "3월까지 1900여편 감편···안전성 확보가 우선"
- 박상우 국토장관, 무안 항공 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 제주항공, 올 1분기 1900여편 감편···"정비여력 확보할 것"
- 공정위, 대기업집단 지정에 GDP 연동방식 적용
- 대한항공·한진칼·아시아나항공, 2025년 정기 임원인사 단행
- [프로필] 우기홍 대한항공 대표이사 부회장
- [프로필] 류경표 한진칼 대표이사 부회장
- 이스타항공, 인천-오사카 노선서 지속가능항공유 급유···점진적 확대 예정
- 김해공항서 에어부산 여객기 이륙 전 화재···탑승객 전원 탈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