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국내 기업들의 해외건설 누적 수주액이 첫 수주 이후 59년 만에 1조달러를 돌파했다.
3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해외건설 누적 수주액은 지난달 1조달러(한화 약 1468조원)를 넘어섰다. 해외건설 누적 수주액은 올해 11월까지 9965억달러를 달성해, 1조달러까지 35억달러 가량을 남은 상태였다.
대외 여건이 악화된 상황에서도 연말 수주에 박차를 가하며 기념비적인 '1조달러'를 돌파한 것인데, 지난 1965년 11월 현대건설이 첫 해외 수주(태국 타파니∼나라티왓 고속도로 건설)를 성공한지 59년 만에 달성한 쾌거다.
다만 지난해 해외건설 연간 수주액은 정부가 목표치로 잡은 400억달러를 넘지는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해외 수주액은 326억9000만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15년(461억달러) 이후 9년 만에 최대 실적이다.
해외 건설은 '중동건설붐'을 타고, 한 때 우리나라의 주요 외화벌이 수단이었다. 이를 통해 경제발전과 산업화 초석을 마련했다.
특히 2010년엔 716억달러를 기록하는 등 해외 건설 호황기를 누렸으나, 미중 무역분쟁과 중동 발주 감소 등의 여파로 2019년 223억달러까지 쪼그라들었다.
이후 반등하며 2021년 306억달러, 2022년 310억달러, 2023년 333억달러에 이어 지난해까지 3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작년에는 중동 수주가 실적을 견인했다. 2023년 전체 해외수주액의 34%에 그쳤던 중동 비중은 50%수준까지 뛰었다. 당시 현대건설의 아미랄 석유화학 플랜트(50억8000만달러)에 이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잭팟' 수주가 이어진 덕분이다.
이어 지난해 4월 삼성E&A와 GS건설은 사우디 국영 석유회사 아람코로부터 60억8000만달러 규모의 파딜리 가스 플랜트 공사를 수주했다. 이는 국내 건설사가 사우디에서 수주한 공사 중 역대 최대 규모다.
정부는 향후 단순 도급 공사 위주의 해외건설 수주에서 벗어나 부가가치가 높은 투자개발형 수주를 확대하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투자개발형 사업은 소요되는 비용의 일부 또는 전부를 참여자가 부담하며 프로젝트를 제안, 여기서 발생하는 손익을 지분에 따라 분배해 수익을 내는 방식이다.
한편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신년사를 통해 '1조달러 달성'을 지난해 성과로 꼽으며 "국가 경제 성장에 큰 힘을 보탰다"고 밝혔다.
- [신년사] 한만희 해외건설협회장 "새 활로 모색·성장동력 확보 지원"
- [2024 건설 결산] 건설경기 악화에 CEO 교체 승부수···도시정비 실적은 '선방'
- 국내건설사 해외 수주액 5년 연속 300억달러 돌파
- "예측 불가" 비상계엄 사태, K-건설 여파는?
- 건설업계, 올해 해외 수주 목표 달성 요원···향후 숙제는?
- 지난해 해외 플랜트 수주 340.7억 달러···9년만에 최대
- [초점] 해외건설 1조달러 달성했지만···절반 이상이 중동, 이유는?
- 현대건설, 'D2D' 자율주행 로봇배송 상용화
- 국토부 "1기 신도시, 노후계획도시 정비 차질 없이 추진"
- 민간 사전청약 취소자 713명 구제···피해자 '당첨지위' 인정
- 삼성E&A, UAE서 2.5조원 규모 메탄올 플랜트 수주
- 집 있으면 '줍줍' 못한다···거주지 요건은 '그때그때 달라요'
- 누적 수주 '1조 달러' 넘긴 해외건설···올해 목표 달성 '순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