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삼성전자가 갤럭시 스마트폰 사용자의 개인정보 유출 사고를 막을 수 있는 '수리 모드' 서비스를 28일 정식 공개했다.
수리 모드는 스마트폰을 수리할 때 선택적으로 데이터를 공개할 수 있게 해 일부 사설업체 등을 통한 수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개인정보 접근이나 유출의 우려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이다.
사용자가 스마트폰 '설정'에서 '배터리 및 디바이스 케어' 메뉴 중 '수리 모드'를 실행하면 스마트폰이 재부팅 된다. 이후에는 사진과 메시지, 계정 등 개인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고 기본 설치 앱만 사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 수리가 끝난 뒤 패턴·지문 인식 등을 거쳐 사용자가 '수리 모드'를 종료하고 재부팅을 하면 다시 개인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우선 갤럭시S21 시리즈부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수리 모드를 도입하며, 추후 일부 다른 기종에도 확대할 계획이다.
최근 삼성전자는 민감한 개인정보의 보호와 보안을 강화하는 기능을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 모바일기기에 잇따라 추가하고 있다.
작년에는 암호화된 개인정보를 독자적인 저장 공간에 보관해 다양한 공격을 차단해주는 정보 보호 기술인 '삼성 녹스 볼트'를 공개했으며, 지난 5월에는 보이스피싱에 악용되는 스마트폰 악성 앱 설치를 차단하는 새로운 보안 솔루션을 공개했다.
신승원 삼성전자 MX사업부 시큐리티팀 상무는 최근 삼성뉴스룸에 게재된 기고문에서 "기술이 그 어느 때보다도 세계를 가깝게 연결해주고 있지만 그에 따른 위험도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며 "삼성의 최우선 과제는 고객이 새로운 경험을 시도하는 동안에도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 '삼성 TV '더 프레임'으로 20세기 역사적 사진 선봬'
- 삼성전자, 갤럭시S22 보라 퍼플 신규 색상 출시
- [초점] 형기 만료 D-3 이재용, 사면론 확산···경영 보폭 넓힐까
- 최태원-바이든, 내일 화상 면담···대미 투자·일자리 논의
- 삼성전자, 삼진어묵과 '비스포크 큐커 썸머 페스티벌' 진행
- 삼성, 세계 최초 '3나노 반도체' 출하···"파운드리 사업에 한 획"
- '제6회 삼성 보안 기술 포럼' 8월 개최···참가 접수 시작
- 삼성전자, 보급형 스마트폰 '갤럭시 A13' 출시···출고가 29만7천원
- [신상품] 삼성전자 '갤럭시 A33 5G'
- 메모리 업황 둔화에···삼성, 3년내 '파운드리 자생력' 갖춘다
- 삼성전자, CEO 직속 신사업TF장에 정성택 부사장 영입
- 페이 포인트에 명품까지···이통3사, 신작 갤럭시 사전알람 혜택 경쟁
- "삼성전자, 베트남 공장 스마트폰 생산 감축···재고 증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