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삼성전기는 반도체 패키지기판(FCBGA) 시설 구축에 약 3000억원 규모의 추가 투자를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투자는 글로벌 거래선으로부터 기술력을 인정받은 FCBGA의 국내 부산, 세종사업장 및 해외 베트남 생산법인에 대한 시설 투자에 쓰일 예정이다.
삼성전기는 이번 투자를 통해 반도체의 고성능화 및 시장 성장에 따른 패키지기판 수요 증가에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특히 국내 최초로 서버용 패키지기판을 연내 양산해 서버, 네트워크, 전장 등 하이엔드급 제품 확대를 통해 글로벌 3강 입지 강화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패키지기판은 고집적 반도체 칩과 메인 기판을 연결해 전기적 신호와 전력을 전달하는 기판으로, 고성능 및 고밀도 회로 연결을 요구하는 CPU(중앙처리장치), GPU(그래픽 처리장치)에 주로 사용된다.
반도체 업계는 로봇, 메타버스, 자율주행 등 반도체 성능 향상에 대응할 수 있는 기판 기술이 절실하다. 특히 빅데이터와 AI와 같은 고성능 분야에 필요한 하이엔드급 패키지기판은 기판 제품 중 미세회로 구현, 대면적화, 층수 확대 등 기술적인 난이도가 가장 높다.
모바일에 탑재되는 패키지기판을 아파트에 비유한다면 서버와 같은 하이엔드급은 100층 이상의 초고층 빌딩을 짓는 것과 같이 높은 기술력이 필요해 후발업체 진입이 어려운 사업이다.
패키지기판 시장은 서버, PC의 성능 발전으로 CPU·GPU용 반도체의 고성능화 및 멀티칩 패키지화에 따라 하이엔드급 제품 중심으로 수요가 증가할 전망이다.
삼성전기는 글로벌 탑(ToP) 거래선의 하이엔드급 패키지기판 수요가 늘어나고 있고, 자율주행 확대로 인한 전장용 패키지 기판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장덕현 삼성전기 사장은 "로봇, 클라우드, 메타버스, 자율주행 등 미래 IT 환경에서는 AI가 핵심 기술이 되면서 AI반도체 등 고성능 반도체 제조업체들이 기술력 있는 패키지 기판 파트너를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며 "삼성전기는 새로운 개념의 패키지기판 기술을 통해 첨단 기술분야에서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기는 1991년 기판사업을 시작, 세계 유수의 기업들에 제품을 공급하며 기판 업계를 이끌고 있다. 특히 플래그십 모바일 AP용 반도체 패키지기판은 점유율, 기술력으로 독보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고 국내 기판 업체 중 유일하게 서버와 같은 하이엔드급 패키지기판 개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앞으로 삼성전기는 부산·세종 사업장과 베트남 생산법인을 패키지 기판 생산 전초 기지로 활용해 고객 대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 '삼성전기 ESG경영 함께하기' 유튜브 공모전 개최
- 이재용 '기술강조' 이틀만에 삼성 사장단 긴급회의
- 삼성·LG, 75兆 '카메라 모듈' 선점 총력···테슬라에 눈독
- 삼성전기, 푸른나무재단과 청소년 사이버폭력 예방 앞장
- 국내 500대 기업 경영평가 최우수기업 삼성전자···3년 연속 1위
- 삼성전기·디스플레이, 임금 9% 인상 합의···삼성전자 수준
- 삼성전기, 1분기 기준 매출·영업익 역대 최대···"전 사업 호조"
- 전자업계, 1분기 역대급 성적표 예고
- 'ESG실천은 협력사와 함께'···삼성전기, 상생협력데이 개최
- 삼성전기, 국내 고객사 대상 전장 MLCC 웨비나 개최
- 경쟁사 다 올랐는데···'최고 보장' 삼성전자, 연봉 인상폭 고심
- 삼성전기, 車 파워트레인용 MLCC 13종 개발···"전장 시장 공략"
- 삼성전기, 지구촌 전등 끄기 '어스아워' 캠페인 참여
- 삼성, 尹·바이든 서명한 '3나노' 양산 다음주 세계 최초 발표
- "尹정부 전략 문제 있다···국립대 반도체학과 설립, 인재 키워야"
- 메타디움-빌리버, 메타버스 클라우드 글로벌 NFT 결제 파트너십 체결
- 삼성전기, 국내 전장 고객 초청 '전장 MLCC 테크데이' 개최
- [기자수첩] 반도체 인재 양성, 이대론 안 된다
- IT업계 종사자들이 가장 원하는 복지는 '주 4일제'
- 웹웨어, 소셜 클라우드 서비스 '인바인더' 선봬
- 삼성전기·LG이노텍, 2Q 불경기 속 선전···고부가 전략 통했다
- 삼성전기, 국내 전체 사업장 '폐기물 매립 제로' 인증 획득
- 삼성전기, 2Q 영업익 3601억원 '동분기 최대' ···"고부가 제품 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