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LG유플러스는 대기배출물질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는 대기환경진단솔루션을 LG화학 등 화학사업장에 구축했다고 3일 밝혔다.
LG유플러스의 5G 및 LTE 무선네트워크를 결합한 대기환경진단솔루션은 각종 측정기 및 센서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의 농도와 오염물질의 확산 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U+스마트팩토리 대기환경진단솔루션은 사업장 내·외부에 황화수소·암모니아·휘발성유기화합물 등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는 물질이 발생하면 즉각 알람을 준다. 이어 U+스마트팩토리 대기TMS(원격감시체계)를 통해 굴뚝에서 배출되는 먼지·황산화물·질소산화물·염화수소·불화수소·일산화탄소 등 오염물질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환경공단에 전송한다.
환경부는 대기 환경 개선을 위해 대기 유해물질을 관리하고 있으며, 배출 허용 기준을 초과할 경우 지방자치단체가 사업장에 시정조치를 내릴 수 있다. 특히 지난해 대기관리권역의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대기관리권역법) 시행으로 사업장 오염물질 총량관리가 의무화됨에 따라 배출물질 관리에 민감한 사업장에서 이 솔루션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LG유플러스의 U+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은 환경뿐만 아니라 안전, 생산·설비 영역에도 LG화학 등 계열사에 선제 구축하여 효율적으로 공장을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서재용 LG유플러스 스마트인프라사업담당(상무)은 "대기오염물질의 배출 및 확산경로를 예측하는 당사의 솔루션을 통해 고객사 사업장의 ESG경영이 가능하도록 LG유플러스가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 LGU+ '무너지지마' 캠페인, 디지털애드어워즈 대상 수상
- 이통3사, 50만원대 '갤럭시북 GO' 출시···마케팅 경쟁 '후끈'
- LGU+, 양자내성암호 학술대회서 산업·의료·공공분야 적용 사례 발표
- LGU+, 빅데이터 센터 구축 국책사업 선정
- LGU+, 서울 지하철 8호선 '스마트 역사' 만든다
- LGU+,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발간···"고객·주주와 소통 강화"
- 네이버·웨이브·아프리카tv·LGU+, 도쿄 올림픽 중계 '경쟁'
- LGU+, 전남 여수에 5G MEC 기반 '스마트산단' 구축
- LGU+, 힙합 레이블 'AOMG' 손잡고 비대면 'XR 콘서트' 연다
- LGU+-국방부, 군 자녀 교육 지원 '맞손'
- LGU+, 2분기 영업익 2648억원 '12%↑'···"신사업 실적 견인"
- LGU+,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상 'U+클라우드보안팩' 출시
- LGU+, 도쿄 올림픽 이어 '패럴림픽'도 중계방송 지원
- LGU+, 음원 플랫폼 '스포티파이'와 맞손···요금제 연계 서비스 선봬
- LGU+, '돌비 비전·애트모스' 셋톱에 탑재···'홈시네마족' 정조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