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SK텔레콤(SKT)이 여러 종류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함께 이용하는 기업들을 위한 구독형 클라우드 전용 네트워크 서비스인 'SKT 클라우드 허브'를 출시했다고 26일 밝혔다.
SKT 클라우드 허브는 AWS, MS 애저 등 멀티 클라우드를 이용하는 기업 고객이 하나의 회선으로 최적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클라우드 전용 네트워크 통합 솔루션이다.
기존의 경우, 일반 인터넷이 아닌 전용회선을 이용해 클라우드를 이용하는 기업들은 클라우드마다 개별적으로 회선을 구축하고 관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했다.
SKT는 지난 1월 AWS, MS 등 국내외 클라우드 사업자(CSP)들과 체결한 전략적 제휴를 바탕으로 '클라우드 허브'와 전용회선 서비스를 제공해 멀티 클라우드를 이용하는 기업들에게 편의성과 안정성은 물론 비용 절감까지 가능하도록 할 방침이다.
SKT 클라우드 허브는 구독형 서비스로 이용 기업이 자사 서버를 CSP 클라우드 별로 일일이 개별 접속할 필요 없이 클라우드 허브를 통해 한 번만 연결하면 되는 전용회선을 통해 별도의 네트워크 장비 구매 없이도 즉시 이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고객사가 클라우드 전환을 위해 직접 네트워크 장비를 구축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는 것은 물론 최소 8주 정도의 구축 시간도 아낄 수 있다.
특히 SKT 클라우드 허브는 기업이 개별적으로 전용회선을 구축해 운영할 때와 비교해 약 80% 수준의 비용 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업이 클라우드를 새롭게 도입하려면 네트워크 장비 구매, 공간 임대, 전력, 운영 비용 등이 발생하지만 SKT 클라우드 허브는 구독형으로 월 이용료만 내면 되기 때문이다.
또한 SKT는 국내 최고수준의 클라우드 기술기업인 베스핀글로벌과 공동 개발한 AI기반의 클라우드 사용 비용 절감 기술이 적용된 '클라우드 관리 플랫폼(CMP)'을 활용해 고품질의 멀티 클라우드 연결 및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 예정이다.
SKT 클라우드 허브는 전용회선과 양자암호 기술을 적용해 해킹 가능성을 원천 차단한다.
SKT 클라우드 허브와 함께 제공되는 전용회선 서비스는 클라우드 서비스만을 위한 독립적인 회선으로 네트워크의 모든 경로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고 중요한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다.
SKT는 연내 클라우드 전용 네트워크에도 양자암호 기술을 적용할 계획이다.
SKT 클라우드 허브는 현재 AWS, MS 애저에 적용 가능하며, 연내 구글 클라우드 와 네이버 클라우드 등으로 적용대상을 확대할 예정이다.
최일규 SKT 클라우드 CO장은 "클라우드를 통해 IT인프라의 고도화 및 경쟁력 제고하고자 하는 기업 들의 혁신 동반자가 되겠다"고 강조했다.
- SKT, KT-LGU+와 'V컬러링' 공동 서비스 시작
- SKT, 통산 17회∙9년 연속 '한국의 우수콜센터' 선정
- SKT-한국도로공사, T맵서 '사고포착알리미' 서비스 제공
- SKT, 'PASS 모바일운전면허확인서비스' T월드 매장 적용
- "최대 70만원 지원"···'갤S20 FE·LG 윙' 공시지원금 상향
- SKT AR 서비스 창덕아리랑, '웨비 어워드' 최고상 수상
- SKT-카카오VX, 메타버스 라이브 골프중계 첫 선
- SKT, 이사회 중심 경영 강화···"경영체계 글로벌 수준으로"
- "SK텔레콤, 인적 분할에 따른 기업가치 상승 기대"-NH證
- SKT, 5G 탑재 '아이패드 프로 5세대' 출시
- SKT, T다이렉트숍서 '티다 디즈니 스페셜 에디션' 선봬
- SKT, 싱가포르 DBS서 2천억원 '우대금리' 대출···"ESG 성과 입증"
- SKT-SK플래닛, 프로테오믹스 기반 암 진단 업체 투자
- 네이버, 전라남도교육청과 '웨일 스페이스' 활용 미래형 학습환경 구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