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공정거래위원회가 '네이버 부동산'에 대해 시장지배적 지위 남용 혐의로 과징금을 부과했다. 이에 대해 네이버는 법적 대응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6일 공정위는 네이버가 부동산 정보업체와 배타조건부 계약을 맺으면서 카카오에 정보 제공을 막아 공정거래법을 어겼다며 시정명령과 10억3200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고 밝혔다.
네이버가 부동산 정보업체(CP)들과 제휴해 매물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는데, 2015년 카카오가 비슷한 모델을 도입하려고 하자 시장지배력을 이용해 부동산 정보업체들이 카카오와 제휴를 맺지 못하도록 방해했다는 것이다.
이에 네이버는 "공정위가 '제3자에게 제공하지 못하게 했다'고 지적하는 정보란 네이버 부동산 서비스의 확인 매물 정보로, 허위 매물을 근절하기 위해 2009년 네이버가 수십억원의 비용을 들여 업계 최초로 개발한 서비스"라는 입장이다.
네이버는 이날 입장 자료를 내면서 "네이버 부동산 확인 매물 정보는 관련 특허도 2건 받았다"며 "도입에 앞서 기존 경쟁사들인 부동산 정보 업체들과 공동 작업을 제안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아 부득이 독자적으로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네이버는 "매물 검증 시스템 구축·유지를 위해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에 운영 업무를 위탁했었다"며 "이런 시스템을 거친 확인 매물 정보는 네이버와 부동산 정보 업체 플랫폼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전제로 운영됐다"고 덧붙였다.
허위 매물 근절을 위해 부동산 정보업체·KISO 매물검증센터·네이버 등 3단계를 거치는 '확인 매물 정보' 시스템을 구축해놓았는데, 카카오가 부동산 정보업체들하고만 제휴를 맺으면서 확인 매물 정보를 '무임승차'로 받으려 시도했다는 설명이다.
네이버는 "카카오는 네이버 '확인 매물 정보'를 아무 비용이나 노력 없이 이용하려 시도했고, 네이버는 무임승차를 막고 지식재산권을 보호하기 위해 '제3자 제공 금지 조항'을 넣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당시 카카오에 KISO에서 매물 정보를 전달받는 별도 시스템을 직접 구축해야 한다고 했으나 아무런 움직임이 없었다"며 "카카오가 네이버 제휴 업체들과 제휴를 시도한 것은 비용과 노력을 들이지 않고 확인 매물 정보를 손쉽게 확보하기 위해서였던 것"이라고 강조했다.
네이버는 "(공정위가) 혁신과 노력을 통해 이용자 선택을 받은 결과를 외면하고 무임승차 행위를 눈감는다면 장기적으로 시장에서 혁신은 사라지고 모든 경쟁자가 무임승차를 기대할 것"이라며 "당사의 정당한 권리를 보호받고 부동산 정보 서비스의 건전한 성장을 위해 법적·제도적 대응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예고했다.
이와 관련 공정위 측은 매물정보 수집을 부동산 정보업체가 하는 점 등을 고려하면, 해당 시스템과 정보를 네이버의 '지식재산권'이라고 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전원 회의에서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공정위는 네이버가 시장을 선점한 플랫폼으로 쇼핑·동영상 등 다른 분야에서도 불공정 행위를 벌이는지 조사·심의 중이다.
- 네이버웹툰, 노블레스 애니메이션 10월 전 세계 동시 공개
- 네이버, 2020 신입 개발자 공개채용
- "네이버 앱·카톡으로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 네이버, '영수증 리뷰' 1억 DB 달성
- 네이버, 연세대와 글로벌 연구 평가 지표 개발 협력
- 라인·소프트뱅크 합작법인 명칭 'A홀딩스'로···초대 회장은 이해진
- 네이버 파파고, AI번역 평가모델 'PATQUEST' 국제대회 수상
- NBP, 한미약품에 클라우드 플랫폼 OCR 서비스 지원
- 카카오, 안산시·한양대와 손잡고 데이터센터 건립 추진
- 네이버 D2SF, AI 애니메이팅 자동화 스타트업 '플라스크'에 투자
- 조성욱 공정위원장, '총수 봐주기' 지적에 "예리하게 법 적용"
- 산업은행 등 SW 생태계 '갑질'···공정위 지적에 자진시정키로
- 카카오엔터프라이즈, 기업판 카톡 '카카오워크' 출시
- 네이버, 전 직원에 성남사랑상품권 5만원씩 지급
- 조성욱 "ICT 분야에서는 동의의결 조치가 더 바람직"
- 공정위, '대금 후려치기' 한온시스템에 과징금 115억···법인 고발
- 공정위, 경제분석과장에 조성익 KDI 박사 임용
- 공정위, 쇼핑·동영상 자사 우대한 네이버에 267억원 과징금 부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