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LG유플러스는 지난 24일 ESG위원회 회의를 열고, 2050년까지 사용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을 수립했다고 26일 밝혔다.
LG유플러스와 같은 통신사의 온실가스 배출은 직접배출보다 전력 사용으로 인한 간접배출이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최근 5G 상용화와 인터넷데이터센터(IDC)의 증설로 간접배출량이 늘어나고 있다. LG유플러스의 2020년 기준 온실가스 배출량 가운데 75%는 네트워크 장비, 15%는 IDC, 10%는 사옥에서 발생하고 있다.
이에 LG유플러스는 ESG경영과 온실가스 저감활동에 동참하기 위해 2050년까지 전력사용량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해 이 같은 감축 로드맵을 수립했다.
우선 국제협의체인 '과학기반 감축목표 이니셔티브(SBTi)' 수준으로 감축하기 위해 2030년까지 약 53%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중간목표를 세웠다. 최종적으로 2050년 기준 온실가스 예상배출량의 25%를 자체감축하고, 나머지 75%는 재생에너지를 사용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LG유플러스는 광동축혼합망(HFC)을 광가입자망(FTTH)으로 전환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며, 동절기 외기로 에어컨을 대체하는 외기냉방장치 설치를 확대 등 국사와 IDC 냉방 효율화를 추진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이 같은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을 구체화하고 전사적으로 확산하기 위해 한국형 RE100(K-RE100)에 가입할 예정이다. K-RE100은 신재생 공급인증서(REC) 구매, 제3자 전력구매계약, 재생에너지 발전사업 지분투자, 자가발전 등을 통해 전력사용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0'으로 줄이자는 캠페인이다. 현재 국내 64개 기업이 K-RE100을 선언했다.
이종민 LG유플러스 ESG추진팀장은 "이번 2050 탄소중립 선언과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을 수립을 시작으로 네트워크 장비 및 냉방효율화 등 이행수단을 구체화하여 전사적인 ESG 경영을 가속화하겠다"고 말했다.
- '선물시장 도입과 탄소배출권 대응전략' 포럼, 29일 개최
- 방통위, 통신서비스 피해 구제 강화···2시간 중단 시 요금 10배 배상
- LGU+ "싱가포르 정보통신부·싱텔 등 대표단 용산사옥 방문"
- LGU+, 'PUF VPN' 적용 고성능 지능형CCTV 선보인다
- LGU+, 클라우드 네트워크 통합 솔루션 'U+클라우드 멀티커넥트' 출시
- LGU+, 알뜰폰 중소 사업자와 상생 강화···새 브랜드 '+알파' 선봬
- LGU+, 요양원 전용 지능형CCTV로 스마트한 돌봄서비스 제공
- LGU+, 사옥 LED 전구-친환경 냉방으로 연간 572만KWh 절감
- LGU+, 30만원대 스마트폰 '갤럭시 버디2' 단독 출시
- LGU+, AI 기술로 품질 불량 잡아낸다
- LGU+, 고객 감정 분석 'AI 콘텐츠 검색 기술' 개발
- "사내 도전문화 확산"···LGU+, 브랜드 화보에 직원 모델로 선발
- 구광모 LG회장, 미래성장동력 '클린테크' 낙점
- LGU+, tvN '뿅뿅 지구오락실' 체험 전시 진행
- [초점] '고객가치' 구광모號 4년···LG, 미래 승부수 던진다
- LGU+, 데이터 커머스 'U+콕' 월 이용고객 50만명 돌파
- LGU+, 해지 고객 쓴소리 듣고 고객경험 혁신한다
- LGU+, 실시간 건강 관리 서비스 '스마트 실버케어' 실증
- LGU+, 국제 전시회서 '안전보건 지원 솔루션' 선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