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LG화학은 중국 저장성(浙江省) 취저우(衢州) 전구체공장(Huajin New Energy Materials)이 저장성 최대 발전사인 '절강절능전력(ZHEJIANG ZHENENG ELECTRIC POWER)'으로부터 연간 50GWh 규모의 재생에너지를 수급하는 제3자 전력구매계약(PPA)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전구체는 양극재의 전 단계 원료로 코발트, 니켈, 망간 등을 결합해 제조하고, 여기에 리튬을 더하면 배터리 핵심 소재인 양극재가 된다.
이번 계약으로 취저우 전구체 공장은 전력 사용량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해 RE100을 달성하게 됐으며, 내연기관 자동차 1만4000대가 1년간 배출하는 3만5000톤 규모의 탄소량을 감축하게 됐다.
제3자 PPA는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 중개판매사 그리고 구매자 간 계약을 통해 고정된 가격으로 재생에너지를 수급 받는 방식으로 전세계 어디서나 탄소 감축 활동으로 인정받을 수 있어 범용성이 높다.
LG화학은 배터리·전기차 제조사 등 고객사의 RE100 요구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전지소재 관련 사업장을 중심으로 재생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지난해 한국기업으로는 처음 중국 내 제3자 PPA를 실행한 우시 양극재 공장에 이어 이번 취저우 전구체 공장까지 중국 내 배터리소재 전 밸류체인에서 RE100을 달성하게 됐다. 청주 양극재 공장은 국내에서 처음 시행된 녹색프리미엄제에 동참해 전력 사용량의 3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했다.
LG화학이 제3자 PPA, 녹색프리미엄 등을 통해 국내외에서 확보한 재생에너지는 총 337.2GWh 규모다.
신학철 부회장은 "ESG 선도 기업으로서 제3자 PPA, 녹색프리미엄 등 국내외에서 재생에너지 전환 가능한 방안을 적극 모색해 전세계 사업장의 RE100 전환을 가속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LG화학, 바이오 원료 적용 SAP 첫 수출
- 이차전지 양극재 확보 '사활'···소재·제조사 물량 확대 '초강수'
- LG화학, LG전자 분리막 사업 품었다···"세계 1위 배터리 소재사로"
- LG화학,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탄소·순환성·사람' 테마
- LG화학, 친환경 프리미엄 브랜드 'LETZero' 출시
- LG화학, 배터리 소재 분야 경력사원 '세 자릿수' 채용
- LG화학, '자상한 기업' 선정···중기 ESG경영 지원
- LG화학, 친환경 소재에 2.6조 통큰 투자···충남 대산에 공장
- LG화학, MZ세대 직원에게 아이디어 얻는다
- LG화학, 투명 ABS에 재활용 소재 적용
- LG화학, 단석산업과 '차세대 바이오 오일' 합작공장 설립
- LG화학-쿠팡, '배송 플라스틱 재활용' 친환경 프로젝트 진행
- 국내 기업도 재생에너지 전기 직접 구입···RE100 활성화 기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