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주진희 기자] 아시아나항공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3분기 연속 이어오던 흑자 행진을 종료했다.
아시아나항공은 올해 1분기 별도재무제표 기준 영업손실이 112억1760만원으로, 지난해 동기(영업손실 2081억6708만원) 대비 적자 폭이 줄었다고 17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7834억803만원으로 지난해 동기(1조1294억5907만원) 대비 30.6% 줄었다. 다만 화물 부문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83% 증가한 6105억원을 기록했다. 당기순손실은 2304억원으로 적자 축소됐다.
아시아나항공은 흑자행진을 이어가진 못했지만 지난해 수익을 개선한 것에 대해 "동남아와 미주, 유럽 중심으로 화물 네트워크를 강화한 덕분"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회사는 지난해 A350여객기 2대의 화물기 개조에 이어 올해 2월 2대를 추가로 개조, 편당 최대 46t의 수송력을 확보한 바 있다. 이후 화물 운송 수요가 높은 미주, 유럽 노선을 중심으로 △정보통신(IT)·전자기기 부품 △전자상거래 수출품 △개인보호장비 등의 탑재 물량을 늘려 해당 노선의 매출을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12%, 82%까지 끌어 올렸다.
이외 베트남 번동·하이퐁, 중국 광저우·남경 등에 전세기 유치, 무착륙 해외 관광비행 등을 통해 여객노선 부문 수익성도 지난해 대비 개선했다고 덧붙였다.
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여객 수요가 사상 최대로 감소한 위기 상황에서도 임직원들의 노력 덕분에 영업손실 규모를 축소할 수 있었다"며 "전세계 백신 접종 확대와 입국 규제 완화 추세에 따른 여객 수요 회복이 예상되는 만큼 이에 대한 대응에 만전을 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지난해 1000대 기업 매출 1489조 '19조↓'···'1조 클럽' 5곳 탈락
- 조종사노조연맹 공식 출범···"고용지원금 연장 절실"
- 대한항공, 아시아나 엔진 정비 맡는다···"5년간 3천억 규모"
- '계열사 부당지원' 박삼구 前 금호 회장 구속 (종합)
- 아시아나항공, 호주 콘셉트 '무착륙 관광비행' 3회 운항
- 아시아나항공, 인도 교민수송 위해 7차례 긴급 특별기 투입
- 전국항공산업노조연맹 "고용유지지원금 기간 연장해야"
- 김이배 제주항공 대표 "ESG경영 추진···단거리 노선 집중"
- 대한항공·아시아나, 내달 인도 교민귀국 부정기편 5회 운항
- 아시아나항공, 인천~프랑크푸르트 '레일 앤 플라이' 온라인 발권
- 아시아나항공, 금호아시아나 '날개' 문양 무상 사용
- 아시아나항공·에어부산·에어서울, '매뉴얼 일원화' 공동 협의체 발족
- 항공업계, 3월 국내선 여객 517만명···"코로나 대응 마케팅 결과"
- 항공업계 실적 '희비'···대한항공 '방긋'·아시아나 '안도'·LCC '초토화'
- [초점] 화물사업도 역부족···'진퇴양난' LCC업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