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KT는 고객들이 고품질 미디어 서비스를 중단 없이 즐길 수 있도록 미디어 플랫폼의 품질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빠르게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미디어 플랫폼 인공지능(AI) 관제 시스템'을 상용화 완료했다고 13일 밝혔다.
KT는 미디어 플랫폼 AI 관제 시스템을 '올레tv', '기가지니', '시즌' 등 주요 미디어 플랫폼 서비스에 시스템 적용을 완료했다.
KT가 이번에 도입한 미디어 플랫폼 AI 관제 시스템은 네트워크 AI 기술과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미디어 플랫폼 품질에 영향을 주는 △네트워크 상태 △서버 성능 △애플리케이션 정보 △고객 단말 서비스 품질 △기후 환경 등 다양한 평가 지표들을 통합 분석하는 장애 예방 시스템이다.
특히 미디어 플랫폼 AI 관제 시스템에는 딥러닝에 기반을 둔 AI 엔진이 탑재돼 서비스 품질 변화, 미디어 트래픽 변화, 이상 징후 발생 가능성을 실시간으로 탐지한다. 장애 발생을 예측한 경우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딥러닝 결과를 토대로 상황별 문제 해결 방안을 도출하고 적용한다.
이를 활용하면 장애 발생 시점을 20분 앞서 예측해 신속히 사전 예방 조치를 적용할 수 있다. 담당 엔지니어가 장애 발생 후 원인을 분석하고 사후에 조치하는 기존 시스템보다 장애 분석과 복구 소요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앞으로 KT는 미디어 플랫폼 AI 관제 시스템을 네트워크 인프라, 플랫폼, 클라우드 서버를 종합적으로 관제 가능한 시스템으로 고도화하며 AI 엔진과 고객 데이터베이스(DB)를 한층 강화하고 적용 서비스도 확대할 계획이다.
이종식 KT 인프라연구소장은 "국내 최초로 미디어 플랫폼 품질 관리에 AI 기술을 적용해 고객에게 더 안정적인 고품질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 "디지털 플랫폼의 품질 관리 모델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 이통3사, '5G·신사업' 쌍끌이로 분기 합산 영업익 1조 달성
- KT, 부산 택시 1만대에 '안심택시 콜체크인' 공급
- KT, 1분기 영업이익 4442억원 '15%↑'···"B2B·미디어 급성장"
- KT스카이라이프, 1분기 영업익 185억원···전년比 17.6%↓
- KT-바이칼AI, 노년층 대상 AI 활용 인지장애 예측기술 개발
- [신상품] KT-아이스크림에듀 '올레 tv 홈스쿨 X AI홈런'
- 문자메시지도 '보내기 취소' 기능 탑재된다
- KT 스튜디오지니-마인드마크, 콘텐츠 사업 '맞손'···"제작 역량 강화"
- KT, 30만원대 5G 스마트폰 '갤럭시 점프' 사전예약
- KT, 온라인 전용혜택 'KT숍 쿠폰팩' 출시
- KT-현대重, 로봇사업 협력 스타트업 발굴 나서
- KT, AMD 서버 클라우드 상품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