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SK㈜가 이사회 산하 '인사위원회'와 'ESG위원회'를 신설하고 대표이사에 대한 평가, 중장기 전략수립 등 경영 핵심분야에 권한을 부여하는 등 지배구조 재혁신에 나선다.
SK㈜는 회사 경영 요소인 인사·전략·감사 등 3대 영역을 이사회와 공유하고 참여수준·독립성·전문성을 높이는 내용을 담은 '거버넌스 스토리(Governance Story)'를 주주총회와 이사회 승인 거쳐 시행한다고 25일 밝혔다.
SK㈜는 사내이사 1명과 사외이사 2명으로 구성된 인사위원회를 신설하고, 대표이사 선임과 사내이사 보수금액 심의 기능 등을 맡길 예정이다.
예를 들어 신규 대표이사를 선임할 때 인사위원회가 회사 의견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최종 대표 이사 후보를 확정하면 이사회와 주주총회 의결을 통해 최종 선임 여부를 결정하는 식이다. 대표이사에 대한 상시 견제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임기 중 교체 안건을 이사회에 상정할 수 있는 권한도 갖는다.
인사위원회는 사내 이사의 개별 보수금액을 사전심의하는 역할도 맡게 된다. 이사회가 개별 보수 금액을 확정하기 전 인사위원회가 먼저 심의하도록 해 합리적이고 투명한 의사 결정 구조를 구축할 수 있도록 했다.
SK㈜는 회사의 경영전략이나 중요한 투자 관련 사항에 대한 검증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ESG위원회도 신설한다. ESG위원회는 환경·사회적가치· 지배구조와 관련된 전략을 분석해 회사가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기존 거버넌스위원회에서 수행하던 투자 안건 검토 기능도 ESG위원회로 이관한다. ESG위원회는 사내이사 1명과 사외이사 5명 전원이 참여한다.
SK㈜는 지난해 이사회 투자 승인 기준 금액을 자기자본의 1.5% 이상에서 1% 이상으로 확대한 바 있다. 이로 인해 이사회 의결을 받아야 하는 투자 안건은 약 25% 증가했다. ESG위원회는 여기에 ESG관점을 더해 심도 깊게 투자 안건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게 된다.
SK㈜ 이사회는 이번 신설 2개 위원회를 포함해 산하에 감사위원회와 거버넌스 위원회 등 총 4개 위원회가 기능하게 된다.
감사위원회와 거버넌스위원회는 모두 사외이사들로만 구성됐으며 사외이사 1인당 최소 2개 이상의 위원회에 참여하고 있다.
SK㈜ 관계자는 "SK㈜ 이사회는 글로벌 톱 수준의 프리미엄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이사회 중심 경영의 ‘뉴노멀’로 자리매김해 나갈 것"이라며 "다양한 이해관계자로부터 더욱 인정받는 지배구조를 통해 기업가치를 높이고 지속가능한 행복을 추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SK㈜, 中 지리차와 3억달러 '뉴 모빌리티 펀드' 조성
- SK㈜, SK바이오팜 지분 일부 매각···신성장 동력 투자금 확보
- SK㈜, 주당 7000원 배당···지주 출범후 '최대'
- SK㈜, '첨단소재·그린·바이오·디지털' 4대 핵심사업 본격화
- SK그룹 차세대 먹거리 'H'(수소), SK E&S가 '주역'
- SK, 美 플러그파워 투자 5일만에 지분가치 2조원 증가
- 3월 다섯째 주 SK하이닉스 등 총 1090개사 정기주총 개최
- 장동현 SK㈜ 대표 "첨단소재·그린·바이오·디지털 '전문가치투자자'로 성장"
- SK㈜, 유전자·세포 치료제 CMO 이포스케시 인수
- SK, 베트남 1위 유통사 빈커머스 16.3% 인수···투자 성과 '본격화'
- SK㈜ 투자 그랩·오토노모 나스닥 상장 추진···"지분가치 상승"
- SK㈜, 시그넷 EV 인수···글로벌 전기차 시장 공략 본격화
- SK㈜, 사회문제 해결 기업에 100억원 규모 '임팩트 투자'
- SK㈜ 인수 '이포스케시', 유럽 최대 유전자·세포 치료제 공장 구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