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한화솔루션 케미칼 부문이 가상 공간에서 인공지능(AI) 실험 환경을 구축하고 초고속으로 대량의 실험 데이터를 축적·분석하는 방식으로 소재·기술 개발 속도를 대폭 높인다.
한화솔루션은 산업통상자원R&D전략기획단, 한국화학연구원, 한국재료연구원 등 연구기관들과 소재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소재개발 디지털 전환 연대'에 참여한다고 15일 밝혔다.
이 날 행사에서는 서창석 한화솔루션 기획부문장이 연구개발 분야의 디지털 전환 도입 우수 사례로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공정을 발표했다.
디지털 트윈 공정에서는 실제와 동일한 공정을 가상 공간에 복제해 운전 조건에 따른 제품 생산성 변화 실험을 무한 반복하며 데이터를 쌓을 수 있다.
저장된 데이터는 AI의 분석을 거쳐 최적화된 공정으로 도출된다. 한화솔루션은 지난해 수소첨가 석유수지 생산 공정의 전 과정을 디지털 트윈화해 공정 설계를 최적화하는데 성공했다.
화학 분야의 디지털 트윈 공정은 촉매의 특성에 따른 화학 반응을 그대로 구현할 수 있어 생산 효율과 제품 품질 향상에도 지속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한화솔루션은 수전해 연구개발에도 디지털 트윈 공정을 도입해 AI 데이터 분석을 적극 활용할 방침이다. 그린 수소의 전력원인 재생에너지는 간헐적이고 변동성이 큰 특성이 있어 안정적인 그린수소 생산을 위해선 특화된 수전해조 운전기술이 필요하다.
수전해조 공정을 디지털화해 가상 운전기술 테스트를 수행하게 되면 실제 실증 시설을 운영할 때 보다 효율적이고 신속한 결과 확보가 가능해진다.
이구영 한화솔루션 케미칼 부문 대표는 "소재 산업 경쟁력 강화에 있어 디지털 전환이 혁신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며 "정부 부처,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소재 연구개발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 한화그룹, 사외이사 '나이·성별 불문'···"자율·책임경영 강화"
- 한화, 우주사업 총괄 '스페이스 허브' 출범···김동관 사장 주도
- 한화솔루션, 유상증자 일반공모 청약 '469.16대 1'
- ㈜한화, 지난해 영업익 1조5820억···전년비 41% 증가
- 김승연 회장, ㈜한화 등 3개사 미등기 임원 맡아···7년만에 경영복귀
- 한화 김동관, 인공위성 전문기업 '쎄트렉아이'서 무보수로 뛴다
- 한화솔루션, 지난해 영업익 5942억원···전년비 29.41%↑
- 한화솔루션, '한마음 씨앗' 캠페인 일반인 참여 행사
- 한화솔루션, '수소첨가 수지' 수출 급증···생산량 100% 증가 전망
- 한화솔루션, 10억위안 규모 그린본드 발행
- 한화솔루션, 국책과제 '폐플라스틱→나프타' 생산기술 주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