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네이버클라우드는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의 대표 홈페이지와 사회적기업통합정보시스템의 대민서비스 및 내부 업무 시스템을 네이버클라우드로 이전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기관 정보시스템 운영을 위한 G-클라우드 전환' 사업은 네이버클라우드가 공공기관의 업무망 시스템을 퍼블릭 클라우드로 이전하는 첫 사례로 지난달 완료됐다.
해당 사업은 특히 공공기관의 퍼블릭 클라우드 활용 및 고용노동부 사이버안전센터와의 연동 등 민감한 보안 이슈와 연결돼 클라우드 보안에 중점을 두고 진행됐다.
회사 측은 "네이버클라우드 보안 팀과의 적극적 조율과 피드백을 통해 밀착 응대하며 공공분야가 지닌 특수성을 감안해 안정적인 클라우드 플랫폼 제공은 물론 믿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업무망 시스템 이관 시 가장 중요한 정보보안을 위해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시큐리티 모니터링 상품을 적용해 보안성을 갖췄고 전문인력이 365일 24시간 모니터링을 전담하는 통합 보안 관제 체계를 통해 안정적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기관이 보유한 개인정보는 국정원을 통해 획득한 CC(Common Criteria, 공통평가기준) 인증의 보안 솔루션으로 암호화해 예기치 못한 침해 시도에 대비했다.
정부는 지난해 확정 및 발표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의 핵심 축 중 하나인 디지털 뉴딜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세계 최고 수준의 전자정부 인프라 및 서비스 등 ICT 기반으로 디지털 초격차를 확대하고 국가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네이버클라우드는 업무망 컴퓨터 서비스형 데스크톱(DaaS) 시설 투자 및 시범사업을 통해 국가정보보안 규정 준수와 안정성을 공간과 시간에 제약 없는 비대면 공공기관 스마트워크 환경을 지원할 예정이다.
박원기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네이버클라우드는 공공기관을 위한 맞춤 클라우드 솔루션을 보유하며 공공에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안정적인 공공 서비스 및 편리한 대민 서비스 구축을 위해 보안과 심의 요건을 충족하는 최고의 클라우드 인프라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 네이버, 스톡옵션으로 성과급 논란 돌파···1900만원 차익
- 대한항공, 네이버와 맞손···항공 서비스분야 제휴 MOU
- 이통3사, 신학기 앞두고 3社 3色 키즈폰 '눈길'
- 네이버밴드, 원격교육 특화기능 강화···신학기 교육 현장 지원
- 네이버 D2SF, 스타트업 '올링크·세븐포인트원' 투자
- 네이버 日자회사, 라인 1주 1조722억원에 취득
- 네이버, 지난해 영업익 1조2153억원 '역대 최대'···"비대면 수혜"
- 네이버-빅히트,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시장 공략 '맞손'
- 네이버, 42만 온라인 창업 '윈윈'···"물류·글로벌 진출까지 지원"
- 네이버플러스 회원, 티빙 VOD 무제한 이용한다
- 네이버-카카오, 공공분야서 '전자문서 서비스' 활용성 넓힌다
- 네이버, 5억 달러 '지속가능 채권' 발행···ESG 경영 강화
- 네이버, 임직원에 스톡옵션 부여···"가장 중요한 자산은 임직원"
- 네이버 뉴스·카페·블로그 등 일부 서비스 먹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