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가 지난해 코로나19의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각각 1조원 가량의 영업이익을 올리며 선방했다. 코로나19 속 수혜를 입은 비대면 사업의 호실적과 5G 가입자의 증가세가 실적을 이끌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지난해 연결 재무제표 기준 매출 18조6247억원, 영업이익 1조3493억원, 순이익 1조5005억원의 실적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각각 5%, 21.8%, 74.3% 증가한 수치다.
미디어·보안·커머스 등 뉴 ICT 사업 성장이 실적을 이끌었다. 뉴 ICT의 영업이익은 총 3262억원으로, 전체 영업이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19년 14%에서, 2020년 24%로 대폭 늘어났다. 특히 미디어사업 성장이 돋보였다. SK브로드밴드는 티브로드 합병과 IPTV 가입자 증가로 매출 3조7135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17.2%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59.2% 증가한 2309억원을 달성했다.
또 보안사업은 전년 대비 12.2% 증가한 매출 1조3386억원을 기록했다. 11번가와 SK스토아 등 커머스 사업 매출은 전년 대비 12.1% 증가한 8142억원을, 영업이익은 110억원을 기록해 전년에 이어 2년 연속 흑자를 달성했다.
여기에 별도 기준 연간 매출은 5G 가입자 확대와 데이터 사용량 증가에 따라 전년 대비 2.8% 증가한 11조7466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도 전년 9518억원 대비 7.5% 늘어난 1조231억원을 달성하며 턴어라운드했다.
KT는 지난해 매출 23조9167억원, 영업이익 1조1841억원을 기록했다. 단말 매출 감소로 전년 대비 매출은 1.7% 감소했으나 서비스 매출은 0.4%, 영업이익은 2.1% 증가한 실적이다.
KT의 성장도 플랫폼 사업이 이끌었다. 인공지능(AI)·디지털전환(DX)사업 매출은 전년 대비 11.8% 증가하며, KT 전체 사업영역 가운데 가장 큰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인터넷데이터센터(IDC)와 클라우드 사업은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따라 지난해에도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했다.
IPTV도 플랫폼 기반 매출 증가로 KT 매출 성장에 주도적인 역할을 이어갔다. 매출은 전년 대비 7.7% 증가하고, 제휴 확대를 통한 서비스 경쟁력 강화로 가입자 순증세를 지속했다.
무선 매출은 코로나19 영향으로 로밍 매출이 감소했으나, 5G 가입자가 본격적으로 늘면서 전년 대비 1.3% 증가한 6조9338억원을 기록했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매출 13조4176억원, 영업이익 8862억원을 기록해 전년대비 각각 8.4%, 29.1% 늘었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유무선 사업이 고르게 성장했다. 모바일 매출의 경우 5G 중심의 이동통신 가입자와 알뜰폰 가입자 증가하면서 전년 대비 5.4% 증가한 5조8130억원을 달성했다.
여기에 IPTV와 초고속 인터넷으로 구성된 '스마트홈' 부문 매출도 크게 증가했다. 특히 IPTV 매출은 지속적인 가입자의 성장에 힘입어 전년 대비 10.9% 증가한 1조1452억원을 기록,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1조원 이상의 수익을 기록했다.
초고속 인터넷 사업 역시 경쟁력 있는 요금제 출시에 따른 가입자 증가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8.6% 늘어난 8682억원의 수익을 달성, 스마트홈 실적 개선에 보폭을 맞췄다.
최민하 삼성증권 연구원은 "최근 이통3사에서 공통적으로 외치는 것 중 하나가 '탈통신'"이라며 "안정적인 캐시카우인 무선통신 사업은 저성장, 규제 산업라는 인식이 강해 이동통신 기반의 디지털, B2B, 미디어 영역을 넓히는데 속도를 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이통3사는 모두 기존 통신 인프라를 기반으로 성장산업을 강화하는데 중점을 두는 전략을 펼칠 것"이라고 덧붙였다.
- KT, 지난해 영업익 1조1841억원···"플랫폼 매출 성장"
- 이통3사, 설 맞이 협력사 납품 대금 780억 조기지급
- 방통위 "코로나19 재난지원금·대출 유도 문자 속지마세요"
- SKT-웅진씽크빅, 구독형 교육상품 사업 업무 협약
- [신상품] LGU+ '해외장기체류 고객 전용 알뜰폰 요금제'
- "연말 '5인 이상 집합금지', 코로나19 확산세 꺾는데 기여"
- LGU+, 협력사 2000여곳에 납품대금 160억 조기지급
- SKT, 지난해 영업익 21.8% 증가···"뉴 ICT 지속 성장"
- "유무선 고른 성장"···LGU+, 지난해 영업익 전년比 29.1%↑
- LGU+, '지포스나우' iOS 서비스 출시
- KT-코레일유통, 철도역사 상업시설 디지털 혁신
- LGU+, 기업고객 영상회의·클라우드 품질 높인다
- [신상품] SK텔레콤 '누구 버즈'
- LGU+ "뮤지컬 '명성황후', 안방TV로 보세요"
- SKT, SC제일은행과 '마이데이터 클라우드' 구축
- LGU+, 신학기 맞이 스마트폰 구매 혜택 강화
- LGU+, '고객 언어 혁신' 전 임직원으로 확대
- SKT, 글로벌 통신사들과 '5G 옵션4' 백서 발간
- LGU+, 'AI 네트워크 품질관리' TM포럼 우수상
- 산후조리도 AI로···KT, 언택트 돌봄 서비스 제공
- SKT-ADT캡스-이노뎁, AI 영상보안사업 공동 진출
- LGU+, AI 기반 설비 예지보전 서비스 확대
- KT-예술의전당, '마음을 담은 클래식' 개최
- KT, 다국어 안내문자 서비스 시작
- KT엠모바일, 월 3만원대 200GB 요금제 선봬
- SKT-한전, 재생에너지 전력 사용 인증 '녹색프리미엄' 계약
- SKT, 클래리베이트 '글로벌 100대 혁신 기업' 선정
- SKB 여주위성센터, 100% 친환경 전력 사업장으로 변신
- SK 세븐모바일, 마블 캐릭터 신규 유심카드 출시
- 세종텔레콤 스노우맨, 알뜰폰 당일배송 서비스 선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