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이 지원한 연세대 의과대학 김형범 교수 연구팀이 DNA 염기 서열을 변화시켜 생명 현상이 발생한 시간을 측정하는 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삼성전자가 4일 밝혔다.
이 연구는 정인경·조성래 연세대 의과대학 교수, 박태영 연세대 응용통계학과 교수, 윤성로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진행됐다.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은 질병, 노화 등 생물학적 현상이 발생하는 시점을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돌파구를 마련했다고 인정받아 3일(미국 현지시간) 세계적인 생명과학 전문 학술지 '셀(Cell)'에 게재됐다.
생명체가 질병에 걸리면 DNA 염기 서열이 변한다. 염기 서열이 언제부터 변했는지 알아내면 질병이 언제부터 발생했는지도 추적할 수 있어 질병의 진행 정도에 따른 치료법을 적용할 수 있다.
김형범 교수 연구팀은 DNA 염기 서열에 변화가 생기면 시간이 지날수록 기하급수적으로 정상 염기 서열은 줄어들고 변이가 늘어나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2만3940개의 서로 다른 염기 서열을 독성 물질을 노출하거나, 열 충격 등을 가해 발생한 변이를 지속적으로 추적 관찰했다.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통계적 분석과 시뮬레이션을 실시해 생명체가 다양한 환경에 노출됐을 때 발생하는 DNA 염기 서열의 변화 시점을 측정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연구팀은 생쥐를 대상으로 실험해 오차 발생률 10% 내외의 정확도로 시간 측정 시스템의 유효성을 검증했다.
김형범 교수는 "화석 등의 나이를 측정하는 방사성 동위원소 측정법과 동일한 원리를 이용해 생명체 내에서 일어나는 각종 현상의 시간 경과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됐다"며 "향후 질병 발생 과정 추적, 노화 등 대부분의 생물학 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김 교수는 산업적 활용을 고려해 해당 기술에 대한 국내 특허 등록을 완료했고, 미국 등 해외에서도 특허 출원 중이다.
이번 연구는 2017년 6월 삼성미래육성사업의 과제로 선정돼 지원을 받고 있다.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이 지원한 연구 과제는 '네이처'에 5건, '사이언스'에 6건 소개됐고, '셀(Cell)'에 게재된 것은 처음이다.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은 우리나라의 미래를 책임질 과학기술 연구의 육성·지원을 목표로 삼성전자가 2013년부터 1조5000억원을 출연해 시행하고 있는 연구 지원 공익사업이다. 2013년부터 지금까지 634개 과제에 8125억 원의 연구비가 지원됐다.
- 'C랩 아웃사이드 데모데이'···삼성 육성 스타트업 20곳 성과 공유
- 삼성전자,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2020 애뉴얼 포럼' 개최
- 삼성 'C랩 아웃사이드', AI·딥테크 등 스타트업 18곳 선정
- '삼성 미래기술' 하반기 연구과제 31개 선정, 396억원 지원
- 삼성, 5330개 협력사와 상생·공정거래 협약···'동행 비전' 속도
- 삼성전자, 9년 연속 동반성장 '최우수' 선정
- 삼성, 中企 신사업 지원 '우수기술 설명회' 개최
- 삼성 지원 고대 연구팀, 심장질환 원인·치료법 찾았다
- 삼성전자, 차세대 반도체∙세포치료제 연구에 123억 쏜다
- 삼성 지원 연구팀, 반도체 크기 1000배 줄일 방법 찾았다
- [신상품] 삼성전자 '뉴 그랑데 AI 세탁기·건조기'
- 삼성전자, KBIS 2021서 '소비자 맞춤형' 가전 소개
- 기록적 한파에 美 전력부족, 삼성 오스틴 공장 '셧다운'
- 삼성전자, 세계 최초 AI 메모리 반도체 개발
- '삼성 미래기술' 상반기 연구과제 27개···464억원 지원
- 삼성 지원 '인공지능 센서'·'인공 항체' 연구 성과, 국제학술지 게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