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5일 '제34차 국제수소연료전지파트너십(IPHE)' 총회에 참석해 전 세계적인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자간 협력방안을 논의했다고 6일 밝혔다
한국, 미국, 일본, 중국, 유럽연합(EU) 등 22개 회원국은 화상으로 열린 회의에서 국가별 수소경제 정책을 공유하고 수소의 글로벌 교역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
산업부는 지난 10월 발표한 '미래자동차 확산 및 시장선점 전략'에 담긴 수소 상용차 확산, 이동형 충전소 구축, 선박·열차·건설기계 등 수소 모빌리티 연구개발(R&D) 지원 계획을 소개했다.
또 제2회 수소경제위원회에서 발표한 수소 발전 의무화 제도(HPS) 도입 방안과 정부 세종청사 내 수소충전소 구축을 통한 수소 안전 홍보, 그린수소 해외사업단 출범을 통한 글로벌 수소 협력 방안 등을 전했다.
이번 회의에서 쉘, 토털 등 글로벌 석유 메이저 관계자들은 화석연료에서 탈(脫)탄소 경제로 전환하고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보완하는 과정에서 수소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재생에너지 단가 하락, 각국 정부의 정치적 의지, 기술 진보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수소 활용이 빠르게 확산할 것으로 전망했다.
일본은 올해 브루나이에서 수소를 수입하는 실증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데 이어 내년 중 호주로부터 수소 수입을 추진할 계획을 소개했다.
수소안전센터(CHS)는 전세계에서 발생한 수소 사고 사례 5건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하면서, 수소 안전 기준을 설정하는 과정도 중요하지만 사고 방지를 위해서는 안전 기준을 지키는 문화 정착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외에도 총회 회원국들은 추출수소, 부생수소, 그린수소 등 다양한 종류의 수소 생산과정 분석응 통해 수소의 친환경성을 지속적으로 연구해 나가기로 했다.
- 산업부, 내년도 예산 11조1860억원···그린뉴딜 투자↑
- 현대차 '수소사회 앞당긴다'···英 화학기업 이네오스와 업무협력
- 두산중공업, 日 5톤 생산 수소액화플랜트 건설
- 현대차, 中 수소전기트럭 진출 '시동'··· 2025년까지 4000대 보급
- 한-러 산업통상부, 수소경제 협력 방안 화상 논의
- 현대重그룹, 상업용 액화수소운반선 인증
- 신한은행-E1, 신재생에너지 개발 협약···그린뉴딜 박차
- 정부, 2022년 '수소 발전 의무화 제도' 도입
- 정부세종청사 내 수소충전소 들어섰다
- 포스코 '그린수소 선도기업' 선언···"2050년 500만톤 생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