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5일 정부·지자체 등 공공주도의 해상풍력 개발사업을 지원하는 '공공주도 대규모 해상풍력 단지개발 지원사업' 20년 지원대상을 공모한다고 4일 밝혔다. 지난 7월 17일 12GW의 해상풍력 보급과 국내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담은 '해상풍력 발전방안'의 후속조치다.
이번 사업은 정부와 지자체 주도의 해상풍력 접합인지 발굴과 대규모 단지개발을 지원해 환경성과 주민수용성을 사전에 확보한 계획적인 해상풍력 개발을 활성화하기 위해 추진되며 △대규모 해상풍력단지 개발 지원 사업 △해상풍력 적합입지 발굴 사업 지원대상을 선정한다.
대규모 해상풍력단지 개발지원 사업은 지자체가 추진중인 대규모 해상풍력단지의 기초설계, 풍황·해양환경 조사, 주민협의 등 개발비용 일부를 국비로 최대 75억원(3년)까지 지원한다.
지원대상에 선정되면 개발이익의 지역공유, 주민수용성 확보 계획을 중점 평가해 수산업 등 지역경제와 상생하며 해상풍력을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해상풍력 적합입지 발굴 사업은 산업부, 해수부, 환경부와 전력연구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등 관련 전문기관이 공동으로 해양공간 조사를 통해 적합입지를 발굴하는 사업이다.
조사대상으로 선정된 기초지자체 단위 관할 해역(권역)은 풍황, 환경(해양생태, 지질 등), 지역수용성(어업활동 현황, 이해관계 등)을 사전에 면밀하게 검토해 어업·해양생태계에 영향은 적으면서 경제성이 우수한 입지를 발굴하게 된다.
산업부 관계자는 "그간 해상풍력 개발사업은 개별 민간사업자 중심으로 추진돼 주민수용성 확보가 미흡했고 이로 인해 인허가 등이 지연되는 경우가 많았다"며 "동 사업을 통해 정부, 지자체가 해상풍력 보급에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해 주민과 상생하고, 지역경제 발전에도 기여하는 해상풍력 개발모델을 발굴·확산하겠다"고 말했다.
- 코오롱글로벌, 연내 가덕산 풍력단지 상업운전 예정
- 두산중공업, 신성장 동력 '해상풍력' 시장 본격 공략
- 산업부, 태양광·풍력 보급확산에 3차 추경 예산 2450억 투입
- 산업부-해수부, 해상풍력‧수산업 상생방안 찾는다
- 17개 지자체, 2025년 재생에너지 비중 15% 달성 목표
- 한전기술, 제주 한림해상풍력단지 터빈 전량 두산重 제품 선정
- 두산로지스틱스솔루션-태국 PTT GC, 물류센터 자동화 설비 공급 계약
- 두산중공업-두산렌체스, 폴란드 '폐자원 에너지화 플랜트' 건설 수주
- 정부, 2025년 산업 데이터 플랫폼 30개 구축···디지털 혁신 추진
- 두산중공업-석유공사, 부유식 해상풍력 공급체계 구축 협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