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 계동사옥 (사진=현대건설)
현대건설 계동사옥 (사진=현대건설)

[서울파이낸스 김예온 기자] 현대건설은 협력사의 기술 제안을 제도화하고 성과를 공유하는 '성과 공유형 VE(Value Engineering) 보상제도'를 도입한다고 29일 밝혔다.

현대건설은 설계·구매·시공 등 전 과정에서 협력사가 제안한 최적화 아이디어로 창출된 원가 절감 성과의 50%를 협력사에 보상하는 제도를 본격 시행한다. 국내 건설사 가운데 처음으로 협력사 제안 기반의 VE 성과를 공유하는 정식 제도를 도입했다.

이 제도는 총 7단계 표준 절차에 따라 운영된다. 협력사는 1차 타당성 검토와 2차 실효성 평가를 거쳐 VE 제안서를 제출하며, 이후 계약 변경, 공사 수행, 성과 정산 단계로 이어진다. 지급 방식과 정산 기준도 명확히 규정해 실행력을 높였다.

품질과 안전에 대한 엄격한 검토도 병행된다. 모든 제안은 발주처 품질 기준 부합 여부, 공정 지연 가능성, 안전성 저하 여부 등을 포함해 다각도로 평가된다. 실효성과 실행 가능성이 확보된 제안만 최종 채택된다.

이번 제도는 토목, 뉴에너지, 플랜트 등 일부 사업본부의 국내외 자재 및 하도급 계약 현장에서 우선 적용된다. 향후 건축 및 주택 사업본부로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현대건설은 이를 통해 협력사의 창의적 기술 제안이 실질적인 경제적 성과로 연결되는 공식 통로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