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열린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열린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파이낸스 김완일 기자]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가 해수부의 부산 이전 필요성을 강하게 주장했다. 북극항로 진입과 유라시아 물류 거점 확보 등 글로벌 해양경쟁에 대응하려면 해수부의 기능을 현장 중심으로 개편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는 14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해수부를 세종이 아닌 부산으로 이전하면 효과는 더욱 높을 것”이라고 밝혔다. 

전 후보자는 "이미 유럽과 중국, 일본은 북극항로 개척을 둘러싼 국제 물류 주도권 경쟁에 뛰어들었다"며 "부산은 해양물류의 중심지로서 해수부 본부 이전의 최적지"라고 강조했다.

그는 해수부의 부산 이전이 단순한 지방 이전이 아니라, 국가 물류 전략 및 해양플랜트, 조선산업 클러스터 구축과 연결된 구조 개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남해안을 중심으로 한 부산, 울산, 여수, 광양, 포항 등 주요 항만 도시가 해수부와 직접 연결될 경우, 행정 효율성도 크게 개선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전 후보자는 해수부 이전에 필요한 예산은 약 200억~300억원 수준이라 추정했다.

아울러 이전에 대한 해수부 공무원의 정주 여건, 교육, 주택 문제 등에 관해 현재 부산시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과 함께 공무원 주거·교육 여건 마련을 위한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또한 전 후보자는 산업통상자원부 소속 조선·해양플랜트 공무원 10여 명을 해수부로 이관하는 방안도 제안했다. 해수부의 기능 강화를 위해 수산 분야 전담 차관을 신설하는 복수 차관제 도입 필요성도 언급했다.

전 후보자는 "해수부 부산 이전에 대해 많은 이들이 우려를 표하고 있는 것을 알고 있으며 특별한 희생에 대한 특별한 보상을 할 예정"이라며 "대한민국 해양 미래를 위해 행정 조직도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