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평택항에 세워져 있는 수출용 자동차. (사진=연합뉴스)
경기도 평택항에 세워져 있는 수출용 자동차. (사진=연합뉴스)

[서울파이낸스 문영재 기자] 미국의 외국산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에 대한 25% 고율 관세 부과가 본격화되면서, 올해 2분기 국내 부품 업계 실적에 경고등이 켜졌다. 미국·멕시코·캐나다자유무역협정(USMCA) 원산지 인증 지연과 완성차 업체와의 정산 협의 지체 등으로 관세 반영 시점이 늦어질 경우 다음 분기 이후에도 부진한 흐름이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2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의 외국산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에 대한 25% 고율 관세 부과 여파는 부품 산업 전반에 직격탄으로 작용하고 있다. 실제로 완성차 생산량과 수출액이 줄면서, 이에 연동된 부품 수출액도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올 들어 5월까지 국내 완성차 생산량은 175만80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1.9% 감소했고, 수출액도 289억4000만달러로 2.5% 줄었다. 특히 대미 수출액은 131억6000만달러로 16.5%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부품 수출액은 75억4000만달러로 5.4% 감소했고, 대미 수출액은 29억5000만달러로 1.6% 줄었다.

이처럼 부진한 흐름 속에, 2분기 부품 업계 실적이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수출액 감소 외에도, 관세 비용을 부품사가 일시적으로 부담하는 회계 구조 탓에 수익성 악화 장기화될 수 있다는 지적도 잇따른다. 명목상 관세는 완성차 업체가 부담하지만, 수출 실무에서는 부품 업체가 관련 서류 제출과 비용 선처리 등의 부담을 지는 경우가 적지 않아서다.

이와 관련, 국내 부품 업체 다수는 선적지인도조건(FOB) 방식으로 수출을 진행하고 있다. FOB는 수출자가 자국 항구에서 선박에 제품을 선적하는 시점까지의 비용과 책임을 지는 조건으로, 선적 이후 발생하는 운송비나 관세 등은 수입자인 완성차 업체가 부담하게 된다. 그러나 USMCA에 따라 관세 환급을 받으려면 미국관세국경보호청(CBP)에 △지역가치기준(RVC) △품목분류변경기준(CTC) △노동가치기준(LVC) 등 복잡한 기준을 충족한 수백건의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한 부품업체 관계자는 "대체로 완성차 업체가 부품 업체에 관련 자료 제출을 요구하고 있다"며 "인증이 지연되는 등의 이유로 정산 협의가 길어지면 관세 비용이 부품 업체 회계에 일시적으로 반영되면서 1~2분기간 현금 흐름에 부담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원산지 기준 충족이 어려운 경우, 관세가 전가되거나 환급이 지연되면서 실적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설명이다.

김귀연 대신증권 연구원은 "주요 부품 업체의 미국 법인 매출 비중은 평균 6.4%고, 일부 기업은 최대 23%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며 "재고 회전 속도가 빠르고 현지 거래 비중이 높은 업체일수록 관세 정산 지연에 따른 실적 하방 압력이 커질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특히 차체 부품 업체 명신산업과 한국·금호·넥센타이어 등 타이어 3사는 대미 수출 비중이 높아 단기 충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봤다. 현재 명신산업은 텍사스 제2공장 가동을 통해 현지 생산 비중을 확대하고 있으며 타이어 업체들은 판매가 인상을 통해 관세 부담을 일부 상쇄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다만 타이어 업체들은 원재료 가격 하락과 판매가 인상 흐름이 맞물리면서 3분기 이후 실적 반등 가능성도 제기된다. 김 연구원은 "통상 타이어 매출에서 원재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30~40% 수준"이라며 "고무류가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만큼, 가격 하락이 일정 시차를 두고 하반기 실적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