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한국예탁결제원)

[서울파이낸스 박조아 기자] 한국예탁결제원은 토큰증권 법제화에 대비한 시스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토큰증권 테스트베드(Test-bed) 플랫폼'을 출시했다고 25일 밝혔다.

토큰증권 법안인 전자증권법·자본시장법 개정안에 따르면, 토큰증권은 전자증권법상 증권발행 형태로 수용된다. 이에 따라 분산원장이 전자등록계좌부로 인정되며, 예탁결제원은 전자등록기관으로서 증권의 총량을 관리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예탁원은 분산원장에 기록된 거래정보를 수집해 토큰증권의 발행총량과 유통총량을 상시 일치하도록 관리해 투자자를 보호해야 한다. 예탁원은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관련 기능과 인프라를 테스트 환경에 구현하고, 이를 시장 참가자들과 함께 검증하기 위해 지난해 10월부터 8개월간 '토큰증권 테스트베드 플랫폼 구축 사업'을 진행했다.

지난해 2월부터 3.5개월간 '토큰증권 시스템 기능분석 컨설팅'을 추진해 플랫폼 구축모델 전반에 대해 사전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예탁결제원은 총량관리 등 전자등록기관 역할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 시장 내 모든 분산원장에 노드로 직접 참여하는 방식으로 수행 방법의 방향성을 결정하고 플랫폼을 구축했다.

토큰증권 테스트베드 플랫폼은 △총량관리시스템 △노드관리시스템 △분산원장시스템으로 구성됐다. 토큰증권 업무 처리를 위한 기간계 시스템인 총량관리시스템은 토큰증권 발행심사, 총량관리·검증, 자기계좌부 분산원장 기재(트랜잭션 생성) 요청 등의 기능을 한다.

노드관리시스템은 다양한 기술 기반 분산원장과의 연계 및 관리를 위한 내부 통합 시스템으로, 노드 참여·모니터링(노드 배포 관리), 업무·데이터 연계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외부 분산원장과 연계되는 분산원장시스템은 트랜잭션 생성(전파), 블록 정보 수신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사업 기간 중에 증권사, 조각투자사업자 등을 대상으로 테스트 참가 접수를 통해 8개사의 테스트 기관을 선정하고, 총 2회에 걸쳐 외부 분산원장과의 연계 테스트를 통해 플랫폼 기능을 검증했다.

예탁결제원은 "토큰증권 법안 통과 및 시행시기에 맞춰 테스트베드 플랫폼을 보완하고, 하위규정을 정비해 토큰증권 제도 도입을 차질없이 준비할 계획"이라며 "참가기관에게 분산원장과 테스트베드 플랫폼 간 연계 테스트를 상시 지원하고, 전자등록기관과의 업무 및 시스템 연계 표준을 수립·공표해 토큰증권 시장 참여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