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앞을 한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 시내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앞을 한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지난달 5대 시중은행에서 가계대출이 5조원 가까이 급증하는 등 총량관리에 차질이 빚어지면서 은행권이 줄줄이 대출 문턱을 높이고 있다.

4일 은행권에 따르면 NH농협은행은 오는 9일부터 수도권 소재 1주택 이상 차주의 주택구입자금 대출 취급을 일시 중단하기로 했다. 기존에는 수도권 2주택자에 한해 주담대를 제한했으나, 이를 더 강화한 것이다.

농협은행은 지난 2일부터 대면 전세자금대출 대환도 한시적으로 중단, 다른 은행에서 농협은행으로 대출을 갈아타려는 수요를 막고 있다. 또 이번달 월별 모집인 대출 한도가 소진됨에 따라 모집인을 통한 대출 접수도 한시적으로 중단했다.

농협은행의 가계대출 한시적 중단 조치는 총량 관리를 위함이다. 이번 대출규제 강화에 앞서 농협은행은 대면 변동형 주담대 우대금리를 0.45%p(포인트) 확대하고, 공무원 전용 'NH공무원대출'의 마이너스통장 한도를 기존 1억원에서 3억원으로 확대하는 등 대출고객 유치 경쟁에 나선 바 있는데, 그 영향으로 대출이 일시에 몰려 총량 관리에 나서야 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KB국민은행도 이날부터 비대면 주담대 가산금리를 0.17%p 인상했다. 대상 상품은 'KB스타아파트담보대출' 가운데 금융채 5년물 금리를 지표로 삼는 주기형과 혼합형 상품이다. 이번 가산금리 조정으로 해당 상품의 금리는 연 3.70~3.90%에서 연 3.87~4.07%로 상향조정됐다.

국민은행의 가산금리 인상 역시 가계대출 수요 조절을 위한 조치다. 그동안 국민은행의 비대면 주담대 금리가 다른 은행들 대비 낮았던 탓에 대출 수요가 대거 몰렸고, 결국 국민은행이 하루 접수한도를 150건으로 제한해 대출 '오픈런' 현상까지 벌어졌다.

다른 은행들도 가계대출 속도 조절을 위해 문턱을 높이고 있다. SC제일은행은 지난달 19일부터 가계대출 가산금리를 0.2%p 인상했고, 우리은행은 18일부터 신용대출 상품인 '우리WON갈아타기 직장인대출' 우대금리를 폐지했다.

은행권의 가계대출 조이기 기조는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다음달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시행을 앞두고 미리 대출을 받으려는 '막차 수요'가 예상되면서 총량 관리에 구멍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달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가계대출 잔액은 748조812억원으로 전월보다 4조9964억원 증가했다. 지난 4월 증가폭 4조5337억원을 넘어섰는데, 이는 올해 들어 가장 큰 증가폭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