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전경 (사진=한국은행)
한국은행 전경 (사진=한국은행)

[서울파이낸스 신민호 기자] 오는 7월부터 내년 6월까지 체결되는 이자율 스왑거래의 10% 이상이 한국형 무위험 지표금리인 'KOFR(Korea Overnight Financing Repo Rate)'를 기반으로 체결될 전망이다.

정부와 관계기관들은 향후 5년간 KOFR 체결되는 비중을 매년 10%포인트(p)씩 늘려, 기존 CD금리 중심의 지표금리 체계를 KOFR 중심으로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29일 정부와 금융당국, 한국은행은 '지표금리 개혁 중간 점검 및 향후계획'을 통해 오는 7월 1일부터 이자율 스왑 거래 KOFR 확산 계획을 본격적으로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해당 계획이 원활히 이행될 경우 이자율 스왑 거래에서 KOFR 비중은 2030년 기준 50% 이상 확대될 전망이다.

현재 지표금리로 활용되고 있는 CD 수익률은 오랜기간 시장에서 활용돼, 금융권과 투자자에게 매우 익숙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CD 기초 거래량 부족으로 수익률 결정이 전문가적 판단에 많이 의존하며, 시장금리 변동을 적시성 있게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지적됐다.

이에 정부와 한은은 2021년부터 KOFR의 산출을 개시했지만, 여전히 CD 수익률이 금융거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절대적인 상황이다. 결국 작년 말 KOFR 중심으로 지표금리 체계를 전환하는 것을 원칙으로 '2025년 지표금리 개혁 추진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번 조치는 해당 계획의 일환이다.

또한 한국거래소는 시장 참여자들이 KOFR 이자율 스왑 거래에 보다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올해 10월 서비스 개시를 목표로 KOFR 이자율 스왑 거래 중앙 청산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최근 설명회를 통해 시장참여자의 의견을 수렴했으며, 오는 8~9월 모의 테스트를 거쳐 올해 10월 중 본격적으로 청산 서비스가 개시될 예정이다.

KOFR 변동금리채권 발행도 늘릴 계획이다. 지난해 민-관 합동 작업반은 올해부터 산업은행이나 기업은행 등 정책금융기관과 은행권이 변동금리채권 자금 조달액의 10% 이상을 KOFR 기반으로 조달하는 계획을 마련했다.

당국이 올해 1~4월중 변동금리채권 발행 현황을 점검한 결과, 정책금융기관의 분기 정례 발행 등에 힘입어 KOFR 변동금리 채권은 약 1조4700억원 규모가 발행됐으며, 전체 변동금리채권 대비 KOFR 발행 비중은 29.3%에 달했다. 5월에는 시중은행이 KOFR 변동금리채권을 최초 발행했으며, 다른 시중은행들도 2분기내 KOFR 변동금리채권 발행을 준비하고 있다.

향후 정부와 한국은행, 관계기관은 민-관 합동 작업반, 관계기관 합동 '지표금리·단기자금시장협의회' 등을 통해 KOFR 활성화를 지속적으로 지원·유도할 방침이다.

또한 파생상품, 변동금리 채권 등 KOFR 연계 상품이 점차 확대되는 과정에서 발행, 거래, 투자 등과 관련한 실무적 이슈들이 나타날 수 있는 만큼, 민-관 합동 작업반을 중심으로 장애가 되는 요인이 없는지 지속 점검·논의할 예정이다.

KOFR 이자율 스왑 거래와 관련해 금융거래지표법상 비상 계획 마련 의무 등 실무상 애로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당국과 관계기관은 합리성이 인정되는 범위에서 금융감독원 비조치의견서 발급 등을 통해 금융권의 어려움을 적극 해소할 것이라 전했다.

한국은행의 경우 KOFR 연계 상품의 초기 유동성 확보와 시장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7월 공개시장운영 대상기관 선정시, 작년 12월부터 올해 6월까지 KOFR 기반 파생상품(선물, 스왑 등) 거래 실적과 현물채권 발행·매입 실적 등을 반영할 예정이다.

이밖에 한국예탁결제원은 7월 중 KOFR 홈페이지 통해 KOFR 변동금리채권 금리 계산기를 제공, 금융권의 KOFR 변동금리채권 발행을 지원할 예정이다. KOFR 공시 정보의 주요 포털사이트 게재 등 인지도 확산을 위한 홍보 활동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한은 관계자는 "정부와 한국은행, 관계기관은 우리 금융시장에서 KOFR가 지표금리로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추가 추진이 필요한 과제에 대해 지속적으로 논의·발굴하겠다"고 전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서울파이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